2023년 6월 고3모의고사 변형문제

2023년 6월 고3 모의고사 32번 해설 및 변형문제(무료)

목동미키박쌤 2023. 6. 15. 00:23
728x90

3등급이 전교 1등으로!

(목동 영일고, 송도 박문여고)

 

바로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목동 미키박쌤과 함께 한 결과입니다!

 

오늘은 2023년 6월 고3 모의고사 32번 해설 및 변형문제 자료입니다.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목동 미키박쌤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원문제 풀고 해설 확인하기

2. 한 줄 해석 자료로 내용 및 핵심 어법 파악하기

3. 동의어가 포함된 어휘정리자료로 어휘 익히기

4. 변형문제로 마무리하기

 

그럼, 시작할까요?

 

Here we go!

 

 

 

 

1. 원문제 풀고 해설 확인하기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2. In labor-sharing groups, people contribute labor to other people on a regular basis (for seasonal agricultural work such as harvesting) or on an irregular basis (in the event of a crisis such as the need to rebuild a barn damaged by fire). Labor sharing groups are part of what has been called a “moral economy” since no one keeps formal records on how much any family puts in or takes out. Instead, accounting is ______________. The group has a sense of moral community based on years of trust and sharing. In a certain community of North America, labor sharing is a major economic factor of social cohesion. When a family needs a new barn or faces repair work that requires group labor, a barn-raising party is called. Many families show up to help. Adult men provide manual labor, and adult women provide food for the event. Later, when another family needs help, they call on the same people.

* cohesion: 응집성

① legally established ② regularly reported ③ socially regulated ④ manually calculated ⑤ carefully documented

 

 

정답은?

 

 

 

 

 

 

 

 

 

 

 

③ socially regulated

 

풀이 :

In labor-sharing groups, people contribute labor to other people on a regular basis (for seasonal agricultural work such as harvesting) or on an irregular basis (in the event of a crisis such as the need to rebuild a barn damaged by fire).

노동 공유 집단 사회에서는 사람들이 서로 규칙 혹은 불규칙적으로 돕는다.

 

Labor sharing groups are part of what has been called a “moral economy” since no one keeps formal records on how much any family puts in or takes out.

이들은 도움을 주고 받은 것에 대한 기록은 하지 않는 도덕적 경제집단이다.

 

Instead, accounting is ______________.

대신 정산은 _____ 이다.

 

The group has a sense of moral community based on years of trust and sharing.

신뢰와 나눔을 근간으로 이루어진 도덕 공동체이다.

 

In a certain community of North America, labor sharing is a major economic factor of social cohesion.

사회적 응집력의 요소 = 노동 공유 -> 즉, 노동 공유가 없으면 사회적 응집력(사회가 유지되고 지탱되는 힘)이 없다.

 

When a family needs a new barn or faces repair work that requires group labor, a barn-raising party is called.

어려울 때, 서로 돕는 모습

 

Many families show up to help. Adult men provide manual labor, and adult women provide food for the event.

도움을 서로 주고 받는다.

 

Later, when another family needs help, they call on the same people.

도움이 필요하면 부른다. 

-> 결국 이런 사회의 특징은 '사회적이고, 명시되지는 않았지만, 암묵적인 룰'이 있고, 이를 기반으로 유지, 운영된다. 

 

결론 : 정답은 ③ socially regulated ‘사회적으로 규제된다’이다.

 

참고 :

① 법적으로 확립된다 ② 정기적으로 보고된다 ④ 수동으로 계산된다 ⑤ 신중하게 문서화된다

 

 

 

정답에 대한 이해를 잘 하셨죠?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내용 이해 및 어법 포인트를 알려드립니다.

 

 

시작하실까요?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2. 한 줄 해석 자료로 내용 및 핵심 어법 파악하기

In labor-sharing groups, people contribute labor to other people on a regular basis (for seasonal agricultural work such as harvesting) or on an irregular basis (in the event of a crisis such as the need to rebuild a barn damaged by fire).

노동력 공유 집단에서 사람들은 정기적으로(수확과 같은 계절적인 농사일을 위해) 혹은 비정기적으로(화재로 손상된 헛간을 다시 지어야 하는 것과 같은 위기 상황 발생시) 다른 사람들에게 노동력을 제공한다. 

 

-> 노동력 공유 집단 = 노동력을 공유하는 마을 혹은 단체 = 노동력이 필요한 곳에는 너와 나의 일 구분 없이 가서 일손을 돕는다.

(한국의 품앗이의 개념으로 이해하면 되겠군요?)

 

damaged 는 과거분사입니다. 

damage (손상시키다) -> damaged (손상시켰다 : 과거형 동사로 동사입니다.) -> damaged (손상된 : 과거 분사로 준동사입니다.)

 

과거분사의 쓰임을 잘 모르시는 분들은 다음을 참고하세요.

 

 

과거분사

안녕하세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입니다. ​ 3등급이 전교 1등으로! (목동 영일고, 송도 박문여고) ​ 바로 재미짐영어 미키박쌤과 함께라 가능했습니다! ​ 오늘은 과거분사 설명입니다. 과거분

jammygymenglish.tistory.com

 

Labor sharing groups are part of what has been called a “moral economy” since no one keeps formal records on how much any family puts in or takes out.

아무도 어떤 가족이 얼마나 많이 투입하고 얼마나 많이 가져갔는지에 대해 공식적인 기록을 남기지 않으므로, 노동력 공유 집단은 ‘도덕적 경제’라고 불려온 것의 일부다. 

 

-> 노동력 공유 집단 = 도덕적 경제(집단) = 거래 관계를 분명히 기록한 자료들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인간이 살아감에 있어서 옳다고 판단되는 행동을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행동하여 집단에 경제적으로 기여하는 것임을 뜻합니다. 

 

what + 불완전문입니다. 

-> 시험에서는 what 을 which 로 바꿔 출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속지 마세요!

 

Labor sharing groups are part of what has been called a “moral economy” since no one keeps formal records on how much any family puts in or takes out.

 

much 는 '셀 수 없는 명사의 양을 표현할 때 쓰는 말'이죠? 본문에서는 much labor 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 시험에서는 many 로 바꿔 출제되어도 속지 마세요!

 

 

Instead, accounting is socially regulated. The group has a sense of moral community based on years of trust and sharing.

대신에, 정산은 사회적으로 규제된다. 그 집단은 다년간의 신뢰와 나눔을 바탕으로 하는 도덕적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있다. 

 

-> 정산이 사회적으로 규제된다고? 

정산이 뭐죠? 쉽게 말해 오늘날의 '돈계산'이죠? 

내가 00를 주었으니, 너도 나에게 00에 해당하는 물건 혹은 서비스를 주어야지? 

정산이 사회적으로 규제된다는 말은, 정산은 사회적(여러 사람들이 함께 모여 집단 생활을 하며, 그 집단의 룰을 따라 생활하는)으로 규제된다.

아, 공식적인 기록은 없지만, '우리 집단에서 함께 살고 싶으면, 우리 집단에서의 서로 돕고 사는 상부상조의 룰을 잘 지켜야 해.' 이런 식이죠.

성문화된(문자 등으로 기록된) 법전 혹은 세금계산서, 정산서 등은 없지만, 일종의 '암묵적인 그 사회의 룰'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써 있지 않지만, 모두가 '당연히' 지키는 룰이죠. (힘들 때는 서로 돕고 살아야지?)

 

Instead, accounting is socially regulated. The group has a sense of moral community based on years of trust and sharing.

 

based 가 과거분사임을 주목하세요.

역시, 앞의 명사인 community 를 수식하고 있습니다. (현재분사와 과거분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의 기능을 할 수 있으니까요.)

그 부분만 보죠. 

community based : 기초한 공동체

 

 

In a certain community of North America, labor sharing is a major economic factor of social cohesion.

북미의 특정 지역 사회에서는 노동력 공유가 사회적 응집성의 주요 경제적 요소이다. 

 

-> 노동력 공유 = 사회적 응집성의 주요 요소

응집성? 

바로 사회가 결속하여 하나의 공동체로 작용하는 힘과 속성을 뜻하죠?

이것의 중심 요소가 바로 '노동력 공유'라는 겁니다.

어찌보면, 너무 당연합니다. 

서로 돕고 사는 사람들이 모인 집단의 특성이니, 당연히 서로 돕고 살 때, 그 집단이 가장 건강하게 운영되는 집단이니까요.

 

일하러 가세!

 

 

When a family needs a new barn or faces repair work that requires group labor, a barn-raising party is called. Many families show up to help.

한 가족이 새 헛간이 필요하거나 단체 노동력을 요하는 수리 작업에 직면할 때, 헛간 조성 모임이 소집된다. 여러 가족이 도우러 온다. 

 

-> 무언가를 지어야 할 때, 당연히 일손이 많이 필요하죠? 그럼, 마을 사람들이 달려가 뚝딱하고 지으면, 단기간 내에 지을 수 있죠?

그걸 혼자서, 혹은 가족들끼리만 짓는다고 생각해 보세요. 정말 오래 걸리고 힘들겠죠?

 

is 가 동사임을 확인합니다. 

문장이 길 경우, '수식어(부사류, 형용사류)'를 빼고 판단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본문의 경우, 수식어구가 When ~ labor 까지가 부사절이죠? 따라서, 부사절은 빼도 나머지 부분( a barn-raising party is called) 은 완전문입니다. 

-> 시험에서는 동사를 준동사로, 준동사를 동사로 바꿔 출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문장에서 is  를  being 혹은 to be 로 바꿔 출제되어도 속지 마세요!

 

준동사의 개념을 모르시는 분은 반드시 아래 내용을 통해 준동사의 개념을 반드시 완벽하게 알아야 합니다!

 

 

준동사

안녕하세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입니다. 오늘은 준동사의 개념 및 동사와 준동사의 구분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동사가 뭔지는 아시죠? 네, 바로 '움직임'을 나타내는 말이죠? 말을 타다, 말을 하

jammygymenglish.tistory.com

 

 

Adult men provide manual labor, and adult women provide food for the event. Later, when another family needs help, they call on the same people.

성인 남성은 육체노동을 제공하고, 성인 여성은 행사를 위한 음식을 제공한다. 나중에, 다른 가족이 도움이 필요할 때,그들은 같은 사람들을 부른다.

 

-> 각자, 공동체를 위한 노동력을 제공합니다. 

서로 돕고 사는 모습이 충분히 마음 속에 그려집니다.

 

provide 가 동사임을 확인합니다. 

앞의 등위접속사 and 가 보이죠? 

, and + 완전문

따라서, 주어가 women 이고 동사가 provide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등위접속사 and를 이용한 병렬구문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and

안녕하세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입니다. 오늘은 and 사용법입니다. '그리고' 아니면 '~과' 아닌가? 그렇죠. 그럼, 치킨 그리고 피자? 아, 그러니까 치킨과 피자? 네, 맞습니다. chicken and pizza 정말 쉽

jammygymenglish.tistory.com

 

 

 

내용 이해와 어법 핵심 포인트 파악까지 다 하셨죠?

 

그럼, 이제는 어휘력을 올려볼 절호의 기회입니다!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쌤

 

3. 동의어가 포함된 어휘정리자료로 어휘 익히기

 

영어 (English) 한국어 (Korean) 동의어 (Synonym)
labor-sharing groups 노동 공유 그룹 cooperative labor groups
contribute 기여하다 contribute, provide
regular basis 정기적인 기간 consistent schedule
irregular basis 불규칙한 기간 sporadic schedule
seasonal 계절적인 seasonal, periodic
agricultural work 농업 작업 farming tasks
harvesting 수확 reaping, gathering
crisis 위기 emergency, disaster
rebuild 다시 짓다 reconstruct, restore
barn 헛간 stable, shed
damaged 손상된 harmed, impaired
fire 화재 blaze, inferno
moral economy 도덕 경제 ethical economy
formal records 공식적인 기록 official documentation
put in 기여하다 contribute, input
take out 가져가다 withdraw, extract
accounting 회계 bookkeeping, record-keeping
socially regulated 사회적으로 규제된 socially controlled
sense of moral community 도덕적 공동체 의식 moral solidarity
trust 신뢰 confidence, reliance
sharing 공유 distribution, allocation
major economic factor 주요 경제 요소 significant economic element
social cohesion 사회적 결속력 social unity
barn-raising party 헛간 건립 파티 collective barn construction event
adult men 성인 남성 grown men
manual labor 육체 노동 physical work
adult women 성인 여성 grown women
provide 제공하다 supply, offer
food 음식 nourishment, sustenance
event 행사 occasion, gathering
later 나중에 afterward, subsequently
call on 부르다 summon, invite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목동 미키박영어

 

 

4. 변형문제로 마무리하기

 

변형문제 1번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In labor-sharing groups, people contribute labor to other people on a regular basis (for seasonal agricultural work such as harvesting) or on an irregular basis (in the event of a crisis such as the need to rebuild a barn ①damaged by fire). Labor sharing groups are part of ②which has been called a “moral economy” since no one keeps formal records on how much any family puts in or takes out. Instead, accounting is socially regulated. The group has a sense of moral community ③based on years of trust and sharing. In a certain community of North America, labor sharing is a major economic factor of social cohesion. When a family needs a new barn or faces repair work that requires group labor, a barn-raising party ④is called. Many families show up to help. Adult men provide manual labor, and adult women provide food for the event. Later, when ⑤another family needs help, they call on the same people.

 

 

정답은?

 

 

 

 

 

 

 

 

which -> what

 

Labor sharing groups are part of ②which has been called a “moral economy” since no one keeps formal records on how much any family puts in or takes out.

 

of which 의 경우 앞에 선행사가 있고, 그 선행사를 수식해주어야 합니다. 앞의 선행사가 part 가 아니기 때문에, of which 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전치사 of 의 목적어로 명사절인 what + 불완전문 이므로, ②번의 자리에는 what 이 옳습니다.

 

 

 

 

 

변형문제 2번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어색한 것은? (원문 변형 문제입니다.)

In labor-sharing groups, people ①provide labor to other people on a regular basis (for seasonal agricultural work such as harvesting) or on an irregular basis (in the event of a crisis such as the need to rebuild a barn damaged by fire). Labor sharing groups are part of what has been called a “moral economy” since no one keeps ②official records on how much any family puts in or takes out. Instead, accounting is ③communally regulated. The group has a sense of moral community based on years of trust and sharing. In a certain community of North America, labor sharing is a major economic factor of social ④disintegration. When a family needs a new barn or faces repair work that requires group labor, a barn-raising ⑤gathering is called. Many families show up to help. Adult men provide manual labor, and adult women provide food for the event. Later, when another family needs help, they call on the same people.

 

 

정답은?

 

 

 

 

 

 

 

 

disintegration (분해) -> cohesion 

 

참고 :

provide (원문 : contribute)

official (원문 : formal )

communally (원문 : socially )

gathering (원문 : party )

 

 

 

 

 

변형문제 3번

다음 글에 이어질 순서를 정하시오.

In labor-sharing groups, people contribute labor to other people on a regular basis (for seasonal agricultural work such as harvesting) or on an irregular basis (in the event of a crisis such as the need to rebuild a barn damaged by fire).

 

(A) Many families show up to help. Adult men provide manual labor, and adult women provide food for the event. Later, when another family needs help, they call on the same people.

(B) In a certain community of North America, labor sharing is a major economic factor of social cohesion. When a family needs a new barn or faces repair work that requires group labor, a barn-raising party is called.

(C) Labor sharing groups are part of what has been called a “moral economy” since no one keeps formal records on how much any family puts in or takes out. Instead, accounting is socially regulated. The group has a sense of moral community based on years of trust and sharing.

 

 

 

정답은?

 

 

 

 

 

 

 

 

 

 

 

 

 

C-B-A

 

 

 

 

변형문제 4번

글의 흐름으로 보아, 다음 주어진 문장이 들어갈 가장 알맞은 곳은?

Instead, accounting is socially regulated. 

 

In labor-sharing groups, people contribute labor to other people on a regular basis (for seasonal agricultural work such as harvesting) or on an irregular basis (in the event of a crisis such as the need to rebuild a barn damaged by fire). Labor sharing groups are part of what has been called a “moral economy” since no one keeps formal records on how much any family puts in or takes out. ① The group has a sense of moral community based on years of trust and sharing. ② In a certain community of North America, labor sharing is a major economic factor of social cohesion. ③ When a family needs a new barn or faces repair work that requires group labor, a barn-raising party is called. ④ Many families show up to help. ⑤ Adult men provide manual labor, and adult women provide food for the event. Later, when another family needs help, they call on the same people.

 

 

정답은?

 

 

 

 

 

 

 

 

 

 

 

 

 

 

 

 

 

 

변형문제 5번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In labor-sharing groups, people contribute labor to other people on a regular basis (for seasonal agricultural work such as harvesting) or on an irregular basis (in the event of a crisis such as the need to rebuild a barn damaged by fire). Labor sharing groups are part of what has been called a “moral economy” since no one keeps formal records on how much any family puts in or takes out. Instead, accounting is socially regulated. The group has a sense of moral community based on years of trust and sharing. In a certain community of North America, labor sharing is a major economic factor of social cohesion. When a family needs a new barn or faces repair work that requires group labor, a barn-raising party is called. Many families show up to help. Adult men provide manual labor, and adult women provide food for the event. Later, when another family needs help, they call on the same people.

Labor-sharing groups rely on trust and mutual _____(A)______for seasonal or emergency tasks, maintaining a moral economy through communal regulation, promoting social _____(B)_______in North American communities. 

          (A)                                         (B)

① dependence                            integration

② support                                    degradation

③ assistance                                 unity 

④ collaboration                            originality

⑤ rapport                                     unification

 

 

정답은?

 

 

 

 

 

 

 

 

 

 

③ assistance                                 unity 

 

Labor-sharing groups rely on trust and mutual assistance for seasonal or emergency tasks, maintaining a moral economy through communal regulation, promoting social unity in North American communities. 

노사분담단체는 계절적 또는 비상시 업무에 대한 신뢰와 상호 지원에 의존하고, 공동 규제를 통해 도덕적 경제를 유지하고, 북미 지역 사회의 사회적 통합을 촉진합니다. 

 

참고 :

 

① dependence  의존                          integration 통합

② support  지지                                  degradation 하락

④ collaboration  협업                          originality 독창성

⑤ rapport  일치                                   unification 통일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목동 미키박쌤

 

지금까지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쌤

2023년 6월 고3 모의고사 32번 해설 및 변형문제를 연습하셨습니다.

 

다음 자료인  2023년 6월 고3 모의고사 33번 해설 및 변형문제도 확인해보실까요?

 

 

 

이 외에도

구글다음네이버유튜브에서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쌤이라고 검색하시면

정말 많은 모의고사 변형문제 자료들을 무료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영문법에 대한 유용한 자료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을 확인해보세요.

 

 

목동 미키박쌤의 재미짐영어

3등급도 전교 1등이 되었습니다! (목동 영일고, 송도 박문여고) 모의고사 변형문제, 영문법 자료를 무제한으로 사용하세요! 여러분도 영어 1등급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jammygymenglish.tistory.com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