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1번)와 정답자료가 필요하시다고요?
걱정 마세요!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가 해결해 드립니다!
3등급도 전교 1등으로! (서울 영일고, 송도 박문여고)
3등급도 전교 2등으로! (서울 목동고)
5등급도 1등급으로! (서울 진명여고)
3등급도 1등급으로! (서울 마포고, 서울 신도림고)
모두가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와 함께 한 결과입니다.
목동 현대파리지앙 409호 미키박영어 (010 6693 6636)
오늘은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1번)와 정답자료를 제공해 드립니다.
좋은 내신 성적은 진심에서 나오는 거 아시죠?
31번 지문에 대한 완벽한 이해는 기본이죠?
미키박영어 2025년3월고1모의고사31번해설
안녕하세요 미키박영어입니다. 2025년3월고1모의고사31번해설이 필요하시다고요? 걱정 마세요. 미키박영어...
blog.naver.com
31번 내용 확실히 익히셨으리라 믿고,
변형문제 도전 시작합니다!
Here we go!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1번)
1.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Plato argued that when you see something that strikes you as ①beautiful, you are really just seeing a partial reflection of true beauty, just as a painting or even a photograph only ②captures part of the real thing. True beauty, or what Plato calls the Form of Beauty, ③having no particular color, shape, or size. Rather, it is an abstract idea, like the number five. You can make drawings of the number five in blue or red ink, big or small, but the number five itself ④is none of those things. It has no physical form. Think of the idea of a triangle, for example. Although it has no particular color or size, it somehow lies within each and every triangle you see. Plato thought the same was true of beauty. The Form of Beauty somehow lies within each and every beautiful ⑤thing you see.
정답은?
③having -> has
주어가 명사절 중 what + 불완전문(관계대명사 what 절) 입니다.
명사절이 주어인 경우에는 단수동사로 수일치를 시킵니다. 그래서 has가 옳습니다.
having 은 동사가 아닌 준동사입니다.
관계대명사 what
안녕하세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입니다. 오늘은 관계대명사 what 에 대한 설명입니다. what 은 '무엇' 아닌가요? 그 정도 알아서 '무엇'에 써먹죠? 오늘 알아볼 관계대명사 what 은 '~것'이라고 해석
jammygymenglish.tistory.com
준동사
안녕하세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입니다. 오늘은 준동사의 개념 및 동사와 준동사의 구분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영상으로 확인하기 : 준동사와 동사, 연결사 개념 동사가 뭔지는 아시죠? 네, 바
jammygymenglish.tistory.com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1번)
2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어색한 것은? (원문 일부 변형 문제입니다.)
Plato argued that when you see something that strikes you as ① attractive, you are really just seeing a partial reflection of true beauty, just as a painting or even a photograph only captures part of the real thing. True beauty, or what Plato calls the Form of Beauty, has no ② specific color, shape, or size. Rather, it is an ③ theoretical idea, like the number five. You can make drawings of the number five in blue or red ink, big or small, but the number five itself is none of those things. It has no ④ visible form. Think of the idea of a triangle, for example. Although it has no particular color or size, it somehow lies within each and every triangle you see. Plato thought the same was ⑤ accurate of beauty. The Form of Beauty somehow lies within each and every beautiful thing you see.
정답은?
정답
✅ ④ visible → physical
해설 (한국어)
4번 visible(보이는, 가시적인)은 문맥상 어색한 표현입니다.
원문에서는 "physical"(물리적인, 형태가 있는)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이데아는 눈에 보이거나 실제로 만질 수 있는 형태가 없다’**는 플라톤의 철학을 설명하는 데 핵심입니다.
→ visible은 '눈에 보이는'이란 뜻으로 단순히 시각적 속성만을 말하며,
플라톤이 말하는 이데아의 비물질적이고 비형태적인 본질을 설명하기엔 적절하지 않습니다.
→ 따라서 이 자리에는 physical이 훨씬 더 적절한 표현입니다.
다른 보기의 원문 단어
✔ ① attractive (원문: beautiful)
→ Beautiful은 ‘아름다운’, attractive도 ‘매력적인’이라는 뜻으로 문맥상 자연스럽습니다.
✔ ② specific (원문: particular)
→ Particular은 ‘특정한’, specific도 같은 의미로 적절하게 쓰였습니다.
✔ ③ theoretical (원문: abstract)
→ Abstract는 ‘추상적인’, theoretical은 ‘이론적인’이라는 뜻으로 철학적 개념 설명에 적절합니다.
✔ ⑤ accurate (원문: true)
→ True는 ‘참된’, accurate는 ‘정확한’이라는 뜻으로 문맥상 자연스럽게 대체 가능합니다.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1번)
3. 다음 문장에 이어질 글의 순서를 정하시오.
Plato argued that when you see something that strikes you as beautiful, you are really just seeing a partial reflection of true beauty, just as a painting or even a photograph only captures part of the real thing.
(A) You can make drawings of the number five in blue or red ink, big or small, but the number five itself is none of those things. It has no physical form. Think of the idea of a triangle, for example. Although it has no particular color or size, it somehow lies within each and every triangle you see.
(B) True beauty, or what Plato calls the Form of Beauty, has no particular color, shape, or size. Rather, it is an abstract idea, like the number five.
(C) Plato thought the same was true of beauty. The Form of Beauty somehow lies within each and every beautiful thing you see.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B) - (A)
⑤ (C) - (A) - (B)
정답은?
✅ 정답:
④ (C) - (B) - (A)
✅ 정답에 대한 이유:
**(C)**는 플라톤이 말한 **아름다움의 형상(Form of Beauty)**이 모든 아름다운 것 안에 존재한다고 믿었음을 설명합니다.
**(B)**는 진정한 아름다움이 색상, 모양, 크기와 같은 특정 물리적 특성을 갖지 않는 추상적인 개념임을 설명합니다.
**(A)**는 추상적인 개념인 숫자 5나 삼각형의 예를 통해 진정한 아름다움도 물리적 특성을 지니지 않으며 모든 아름다운 것들 안에 존재한다는 플라톤의 생각을 뒷받침합니다.
따라서 전개 순서는 **(C) → (B) → (A)**가 가장 자연스럽고 논리적입니다.
✅ 한국어 해석:
플라톤은 우리가 아름답다고 느끼는 어떤 것을 볼 때, 그것은 진정한 아름다움의 부분적 반영에 불과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그림이나 사진이 실제의 일부만을 포착하는 것과 같다고 했습니다.
(C) 플라톤은 아름다움의 형상(진정한 아름다움)이 모든 아름다운 것들 안에 존재한다고 생각했습니다.
(B) 진정한 아름다움은 특정한 색, 형태, 크기가 아니라 숫자 5와 같은 추상적인 개념이라고 설명합니다.
(A) 숫자 5를 파란색이나 빨간색 잉크로 그리거나, 크기를 다르게 그릴 수 있지만, 숫자 5 자체는 그런 것들이 아니며, 삼각형의 개념이 모든 삼각형에 존재하는 것처럼 아름다움도 모든 아름다운 것들 안에 존재한다고 플라톤은 믿었습니다.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1번)
4.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알맞은 것은?
Plato argued that when you see something that strikes you as beautiful, you are really just seeing a partial reflection of true beauty, just as a painting or even a photograph only captures part of the real thing. True beauty, or what Plato calls the Form of Beauty, has no particular color, shape, or size. Rather, it is an abstract idea, like the number five. You can make drawings of the number five in blue or red ink, big or small, but the number five itself is none of those things. It has no physical form. Think of the idea of a triangle, for example. Although it has no particular color or size, it somehow lies within each and every triangle you see. Plato thought the same was true of beauty. The Form of Beauty somehow lies within each and every beautiful thing you see.
① Why we perceive beauty differently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② How physical objects fail to capture true beauty
③ The difference between mathematical and aesthetic ideals
④ Plato’s concept of beauty as an abstract and universal form
⑤ The importance of appreciating beauty in the physical world
정답은?
정답
④ Plato’s concept of beauty as an abstract and universal form
✅ 정답 해설
이 글은 **플라톤(Plato)**이 주장한 "진정한 아름다움(Forms of Beauty)"의 철학적 개념을 설명합니다.
우리가 보고 느끼는 아름다움은 진정한 아름다움의 일부분에 불과하며,
참된 아름다움은 색, 크기, 형태가 없는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개념이라는 것이 핵심입니다.
숫자 5, 삼각형 등의 예시를 통해, 플라톤은 눈에 보이는 구체적인 것들 속에 보이지 않는 본질이 깃들어 있다고 설명합니다.
따라서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선택지는
**④ Plato’s concept of beauty as an abstract and universal form (플라톤의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아름다움 개념)**입니다.
📝 선택지 해석
① Why we perceive beauty differently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 우리가 개인적 경험에 따라 아름다움을 다르게 인식하는 이유
(※ 주관적 관점에 초점, 글의 논지와 다름)
② How physical objects fail to capture true beauty
→ 물리적 대상이 참된 아름다움을 포착하지 못하는 방식
(※ 일부분은 맞지만, 전체 철학적 개념을 설명하는 데는 부족)
③ The difference between mathematical and aesthetic ideals
→ 수학적 이상과 미적 이상 간의 차이
(※ 수학적 예시가 나왔지만, 두 개념을 비교하는 것이 주제는 아님)
④ Plato’s concept of beauty as an abstract and universal form
→ 플라톤의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아름다움 개념 ✅ (정답)
⑤ The importance of appreciating beauty in the physical world
→ 물리적 세계에서 아름다움을 감상하는 것의 중요성
(※ 글은 오히려 물리적 아름다움은 진정한 아름다움의 그림자일 뿐이라 강조함)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1번)
5.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Plato argued that when you see something that strikes you as beautiful, you are really just seeing a partial reflection of true beauty, just as a painting or even a photograph only captures part of the real thing. True beauty, or what Plato calls the Form of Beauty, has no particular color, shape, or size. Rather, it is an abstract idea, like the number five. You can make drawings of the number five in blue or red ink, big or small, but the number five itself is none of those things. It has no physical form. Think of the idea of a triangle, for example. Although it has no particular color or size, it somehow lies within each and every triangle you see. Plato thought the same was true of beauty. The Form of Beauty somehow lies within each and every beautiful thing you see.
↓
Plato believed that physical beauty reflects the abstract (A)_____________ of beauty, which, like numbers, lacks specific (B)______________ features.
(A) (B)
① expression emotional
② version cultural
③ form physical
④ imitation psychological
⑤ illusion symbolic
정답은?
✅ 정답: ③ form ··· physical
✨ 해설:
(A) form (이데아, 형상)
→ 지문에서는 Plato가 말하는 Form of Beauty(미의 이데아)를 반복적으로 언급하며, 이는 추상적이고 진정한 아름다움의 본질이라고 설명합니다.
(B) physical (물리적)
→ Plato의 미 개념은 특정한 색, 크기, 형태를 갖지 않으며, 즉 물리적 특성(physical features) 을 갖지 않는다고 명시됩니다. 숫자나 삼각형의 개념이 그 예로 들립니다.
📌 오답 해설
① expression / emotional: ‘expression(표현)’과 ‘감정적’ 특성은 Plato의 형이상학적 관점과 다름
② version / cultural: 문화적 해석은 지문과 관련 없음
④ imitation / psychological: Plato는 아름다움의 ‘모사’가 아닌 ‘근원적 본질(form)’을 말함
⑤ illusion / symbolic: Plato는 아름다움을 ‘환상’이나 ‘상징’으로 보지 않음
지금까지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목동 미키박영어의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1번)와 정답자료였습니다.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2번)와 정답자료도 확인해보실까요?
이 외에도
구글, 다음, 네이버, 유튜브에서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라고 검색하시면
정말 많은 모의고사 변형문제 자료들을 무료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영문법에 대한 유용한 자료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을 확인해보세요.
감사합니다.
'2025년 3월 고1모의고사 변형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3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0) | 2025.04.20 |
---|---|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2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1) | 2025.04.19 |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0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2) | 2025.04.14 |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29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1) | 2025.04.14 |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24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0)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