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5번 변형문제 [수능 대비 모의고사 변형문제]가 필요하시다고요?
걱정 마세요!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가 해결해 드립니다!
3등급도 전교 1등으로! (서울 영일고, 송도 박문여고)
3등급도 전교 2등으로! (서울 목동고)
5등급도 1등급으로! (서울 진명여고)
3등급도 1등급으로! (서울 마포고, 서울 신도림고)
모두가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와 함께 한 결과입니다.
목동 현대파리지앙 409호 미키박영어 (010 6693 6636)
오늘은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5번 변형문제 [수능 대비 모의고사 변형문제]를 제공해 드립니다.
좋은 내신 성적은 진심에서 나오는 거 아시죠?
35번 지문에 대한 완벽한 이해는 기본이죠?
미키박영어 2024년3월고1모의고사35번해설
안녕하세요 미키박영어입니다. 2024년3월고1모의고사35번해설이 필요하시다고요? 걱정 마세요. 미키박영어...
blog.naver.com
잘 이해하셨죠?
그럼 변형문제 도전 시작합니다!
Here we go!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5번 변형문제 1번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어색한 것은?
A group of psychologists studied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illness ①who experienced weekly group music therapy, including singing familiar songs and composing original song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music therapy improved the quality of participants’ life, with those participating in a greater number of sessions ②experiencing the greatest benefits. Focusing on singing, another group of psychologists reviewed articles on the efficacy of group singing as a mental health treatment for individuals ③to live with a mental health condition in a community setting. The findings showed that, when people with mental health conditions participated in a choir, their mental health and wellbeing significantly ④improved. Group singing provided enjoyment, improved emotional states, ⑤developed a sense of belonging and enhanced self-confidence.
정답은?

③living
-> 앞의 명사인 individuals을 수식하는 현재분사입니다.
'살고 있는 개인들'이라는 의미가 문맥상 더 옳습니다.
for individuals to live ~ 의 형식으로 쓰게 되면 '사람들이 살기 위해서'라는 문맥상 어색한 의미의 형태가 됩니다.
현재분사와 과거분사의 구분, 이렇게 구분하세요.
현재분사와 과거분사의 구분이 궁금하시다고요? 걱정마세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이 아주 쉽게 알려드립니...
blog.naver.com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5번 변형문제 2번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어색한 것은? (원문 일부 변형 문제입니다.)
A group of psychologists studied individuals with severe ①mental illness who experienced weekly group music therapy, including singing familiar songs and composing original song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music therapy improved the quality of participants’ life, with those participating in a greater number of sessions experiencing the greatest ②gains. Focusing on singing, another group of psychologists reviewed articles on the ③shortcomings of group singing as a mental health treatment for individuals living with a mental health condition in a community setting. The findings showed that, when people with mental health conditions participated in a choir, their mental health and wellbeing significantly ④bettered. Group singing provided enjoyment, improved ⑤psychological states, developed a sense of belonging and enhanced self-confidence.
정답은?
③shortcomings (단점) -> efficacy
참고:
①mental (원문 그대로 출제)
②gains (원문 : benefits )
④bettered (원문 : improved )
⑤psychological (원문 : emotional )
정답이 **③ shortcomings (단점) → efficacy (효능, 효과)**로 수정되는 이유는 문맥상 "group singing"이 정신 건강 치료로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내용을 다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 문맥 분석
첫 번째 연구
"A group of psychologists studied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illness who experienced weekly group music therapy..."
심리학자들이 음악 치료(노래 부르기 포함)의 영향을 연구했고, 그 결과 삶의 질이 향상됨을 발견함.
→ 음악 치료의 긍정적인 효과를 강조.
두 번째 연구 (문제의 문장 부분)
"Focusing on singing, another group of psychologists reviewed articles on the shortcomings of group singing as a mental health treatment..."
"단점(shortcomings)을 검토했다"라고 되어 있음.
하지만 뒤 문장을 보면 합창(choir)에 참여한 사람들이 정신 건강과 웰빙(wellbeing)이 크게 향상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됨.
→ 긍정적인 효과를 연구한 것인데, 단점(shortcomings)이라는 단어는 문맥상 부적절함.
→ 대신 **"efficacy(효능, 효과)"**를 사용해야 문맥이 자연스러움.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5번 변형문제 3번
다음 글에 이어질 글의 순서를 정하시오.
A group of psychologists studied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illness who experienced weekly group music therapy, including singing familiar songs and composing original songs.
(A) Focusing on singing, another group of psychologists reviewed articles on the efficacy of group singing as a mental health treatment for individuals living with a mental health condition in a community setting.
(B) The findings showed that, when people with mental health conditions participated in a choir, their mental health and wellbeing significantly improved. Group singing provided enjoyment, improved emotional states, developed a sense of belonging and enhanced self-confidence.
(C)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music therapy improved the quality of participants’ life, with those participating in a greater number of sessions experiencing the greatest benefits.
정답은?
(C)-(A)-(B)
해설 :
🔎 문맥 흐름 분석
🔹 원문 첫 문장
"A group of psychologists studied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illness who experienced weekly group music therapy, including singing familiar songs and composing original songs."
→ 첫 번째 연구 소개 (음악 치료 연구)
🔹 (C) 연구 결과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music therapy improved the quality of participants’ life, with those participating in a greater number of sessions experiencing the greatest benefits."
→ 첫 번째 연구의 결과를 설명
→ 연구 결과를 먼저 제시하는 것이 자연스러움.
🔹 (A) 또 다른 연구 시작
"Focusing on singing, another group of psychologists reviewed articles on the efficacy of group singing as a mental health treatment for individuals living with a mental health condition in a community setting."
→ 새로운 연구 소개 (합창 치료 연구)
→ 앞 연구와 관련이 있지만, 새로운 연구이므로 기존 연구 결과(C) 다음에 배치하는 것이 적절.
🔹 (B) 두 번째 연구의 결과
"The findings showed that, when people with mental health conditions participated in a choir, their mental health and wellbeing significantly improved. Group singing provided enjoyment, improved emotional states, developed a sense of belonging and enhanced self-confidence."
→ 두 번째 연구의 결과 설명
→ (A)에서 "또 다른 연구를 진행했다"고 했으므로 그 연구 결과가 (B)에 배치되는 것이 논리적.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5번 변형문제 4번
다음 빈칸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은? (원문 전체 변형문제입니다.)
A team of psychologists examined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illness engaging in weekly group music therapy, comprising singing familiar songs and creating original ones, finding that . Another group of psychologists concentrated on the effectiveness of group singing as a mental health intervention for community-dwelling individuals with mental health conditions, discovering significant enhancements in mental health and well-being among choir participants, including increased enjoyment, improved emotional well-being, strengthened sense of belonging, and heightened self-confidence.
① mental health is deeply correlated with physical health
② increased participation led to greater improvements in their quality of life
③ the deterioration of mental health has resulted in economic poverty
④ continuous self-improvement is recommended to improve mental health
⑤ mental health can be maintained through creative activities such as music and art therapy
정답은?
② increased participation led to greater improvements in their quality of life
② 참여의 증가는 그들의 삶의 질에 있어서 더 큰 향상으로 이어졌다
참고 :
① mental health is deeply correlated with physical health
정신 건강은 육체 건강과 깊은 상관관계에 있다
③ the deterioration of mental health has resulted in economic poverty
정신 건강의 악화는 경제적으로 빈곤해진다는 결과를 낳았다
④ continuous self-improvement is recommended to improve mental health
정신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자기 계발이 추천된다
⑤ mental health can be maintained through creative activities such as music and art therapy
정신 건강은 음악과 미술 치료와 같은 창의적인 활동을 통해 유지될 수 있다
해설 :
🔎 문장 분석
문장에서 빈칸이 있는 부분:
A team of psychologists examined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illness engaging in weekly group music therapy, comprising singing familiar songs and creating original ones, finding that ______________.
앞 문장 (첫 번째 연구)
심리학자들이 정신 질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주간 그룹 음악 치료를 연구함.
치료 방법: 익숙한 노래 부르기 + 새로운 노래 만들기.
뒤 문장 (두 번째 연구)
합창(group singing)의 효과를 연구하여,
정신 건강과 웰빙이 크게 향상됨을 발견.
긍정적인 효과: 즐거움 증가, 감정 상태 개선, 소속감 강화, 자신감 증가.
📌 정답 선택 과정
빈칸은 첫 번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는 부분입니다.
즉, 음악 치료의 효과가 무엇인지 설명해야 합니다.
각 선택지를 검토해 보면:
1️⃣ mental health is deeply correlated with physical health
정신 건강과 신체 건강의 연관성에 대한 내용은 없음❌
2️⃣ increased participation led to greater improvements in their quality of life
첫 번째 연구는 음악 치료가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는 연구 결과를 다룸 → 문맥과 일치 ✅
3️⃣ the deterioration of mental health has resulted in economic poverty
정신 건강 악화가 경제적 빈곤을 초래한다는 내용은 없음 ❌
4️⃣ continuous self-improvement is recommended to improve mental health
자기계발을 권장한다는 내용은 언급되지 않음 ❌
5️⃣ mental health can be maintained through creative activities such as music and art therapy
일반적인 창의적 활동이 아니라, 음악 치료의 구체적인 효과가 초점이므로 문맥상 덜 적절함 ❌
✅ 결론
첫 번째 연구에서는 음악 치료 참여가 많을수록 삶의 질이 더 크게 향상되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으므로,
정답은 ② increased participation led to greater improvements in their quality of life가 가장 적절합니다. ✅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5번 변형문제 5번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A group of psychologists studied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illness who experienced weekly group music therapy, including singing familiar songs and composing original song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music therapy improved the quality of participants’ life, with those participating in a greater number of sessions experiencing the greatest benefits. Focusing on singing, another group of psychologists reviewed articles on the efficacy of group singing as a mental health treatment for individuals living with a mental health condition in a community setting. The findings showed that, when people with mental health conditions participated in a choir, their mental health and wellbeing significantly improved. Group singing provided enjoyment, improved emotional states, developed a sense of belonging and enhanced self-confidence.
↓
Group music therapy and choir [A] notably improved [B] well-being and self-confidence.
[A] [B]
① organization physical
② operation psychological
③ registration self-conscious
④ management affective
⑤ participation mental
정답은?
⑤ participation mental
Group music therapy and choir participation notably improved mental well-being and self-confidence.
집단 음악치료와 합창 참여는 정신적 행복감과 자신감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해설:
[A]에 들어갈 단어 선택 (Group music therapy and choir ___ )
- 원문에서 음악 치료와 합창이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설명하고 있음.
- 연구의 핵심은 사람들이 음악 치료나 합창에 '참여'한 결과,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는 점.
- 따라서 **"참여(participation)"**이 가장 적절함.
📌 다른 선택지와 비교
① organization | 조직, 구성 | ❌ 치료 방법에 대한 설명과 맞지 않음 |
② operation | 운영, 작동 | ❌ 치료가 운영된다는 의미보다, 사람들이 참여한 것이 중요 |
③ registration | 등록 | ❌ 단순한 등록이 아니라 실제 참여한 것이 핵심 |
④ management | 관리 | ❌ 치료가 관리되는 것이 아니라, 참여 자체가 중요한 요소 |
⑤ participation | 참여 | ✅ 사람들이 직접 참여하면서 효과가 나타났으므로 적절 |
[B]에 들어갈 단어 선택 (notably improved ___ well-being and self-confidence)
- 원문에서 **"mental health and well-being significantly improved"**라고 명시됨.
- 즉, 음악 치료와 합창이 향상시킨 것은 정신 건강(mental health).
- 따라서 **"mental"**이 가장 적절한 단어.
📌 다른 선택지와 비교
① physical | 신체적인 | ❌ 연구의 초점은 정신 건강이므로 부적절 |
② psychological | 심리적인 | ⭕ 가능하지만, 연구에서는 ‘mental health’라는 표현을 사용했으므로 덜 적절 |
③ self-conscious | 자의식 있는 | ❌ 문맥상 맞지 않음 |
④ affective | 감정적인 | ❌ 감정이 아닌 전반적인 정신 건강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부적절 |
⑤ mental | 정신적인 | ✅ 연구에서 사용한 용어와 일치 |
✅ 결론
"음악 치료와 합창 참여는 정신 건강과 자신감을 눈에 띄게 향상시켰다."
따라서 정답은 ⑤ participation / mental이 됩니다.
지금까지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의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5번 변형문제[수능 대비 모의고사 변형문제]였습니다.
36번 변형문제도 확인해보실까요?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6번 변형문제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6번 변형문제가 필요하시다고요? 걱정 마세요!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가 해결해 드립니다! 3등급도 전교 1등으로! (서울 영일고, 송도 박문여고) 3등급도 전교
mickeypark999.tistory.com
이 블로그 외에도
구글, 다음, 네이버, 유튜브에서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라고 검색하시면
정말 많은 모의고사 변형문제 자료들을 무료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영문법에 대한 유용한 자료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을 확인해보세요.
감사합니다.
'2024년 3월 고1모의고사 변형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7번 변형문제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0) | 2024.04.22 |
---|---|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6번 변형문제 [수능 대비 모의고사 변형문제] (0) | 2024.04.22 |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4번 변형문제[수능 대비 모의고사 변형문제] (0) | 2024.04.22 |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3번 변형문제 [수능 대비 모의고사 변형문제] (2) | 2024.04.21 |
2024년 3월 고1 모의고사 32번 변형문제 [수능 대비 모의고사 변형문제] (0) | 2024.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