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3월고2모의고사변형문제(36번)와 정답자료가 필요하시다고요?
걱정 마세요!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가 해결해 드립니다!
3등급도 전교 1등으로! (서울 영일고, 송도 박문여고)
3등급도 전교 2등으로! (서울 목동고)
5등급도 1등급으로! (서울 진명여고)
3등급도 1등급으로! (서울 마포고, 서울 신도림고)
모두가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와 함께 한 결과입니다.
목동 현대파리지앙 409호 미키박영어 (010 6693 6636)
오늘은 2025년3월고2모의고사변형문제(36번)와 정답자료를 제공해 드립니다.
좋은 내신 성적은 진심에서 나오는 거 아시죠?
36번 지문에 대한 완벽한 이해는 기본이죠?
미키박영어 2025년3월고2모의고사36번해설
안녕하세요 미키박영어입니다. 2025년3월고2모의고사36번해설이 필요하시다고요? 걱정 마세요. 미키박영어...
blog.naver.com
36번 내용 확실히 익히셨으리라 믿고,
변형문제 도전 시작합니다!
Here we go!
2025년3월고2모의고사변형문제(36번)
1.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The governments of virtually every country on the planet attach great importance to achieving food security and a wide variety of mechanisms ①have been developed to realize this goal. The first issue governments face in achieving national food security is the problem of insuring that adequate amounts of food are available to the resident population. Some governments have set goals of food selfsufficiency, ②this means most if not all of the food available in a country comes from the domestic farming system. However, food security does not require food selfsufficiency because countries can import food items not easily produced within the country. Agricultural products are, after all, ③highly sensitive to climatic, soil and other conditions that tend to vary around the world. Even countries with extremely productive agricultural sectors ④are not fully selfsufficient in all food items. The United States, for example, depends on imports for its supply of coffee, tea, bananas and other tropical products. In general, the problem of assuring adequate food supplies ⑤is solved by relying on both domestic production and imports.
정답은?
②this -> which
절 + 절 의 상황이죠?
따라서, ② 번의 자리에는 절과 절을 연결해주는 연결사가 필요합니다.
절 안에는 한 개의 동사가 있죠?
동사가 ② 번 뒤에 또 보이죠?
즉, 동사가 2개 이므로 절 + 절 임을 알 수 있다는 말이죠.
this 는 대명사로 연결사가 아니죠?
which 는 관계대명사로 연결사죠? 그래서, 앞의 내용을 가리키면서 절과 절을 이어주는 연결사인 which 가 옳습니다.
2025년3월고2모의고사변형문제(36번)
2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어색한 것은? (원문 일부 변형 문제입니다.)
The governments of virtually every country on the planet attach great importance to achieving food security and a wide variety of mechanisms have been developed to realize this goal. The first issue governments face in achieving national food security is the problem of ① ensuring that adequate amounts of food are available to the resident population. Some governments have set goals of food self-sufficiency, which means most if not all of the food available in a country comes from the ② local farming system. However, food security does not require food self-sufficiency because countries can import food items not easily produced within the country. Agricultural products are, after all, highly ③ vulnerable to climatic, soil and other conditions that tend to vary around the world. Even countries with extremely ④ nutritious agricultural sectors are not fully self-sufficient in all food items. The United States, for example, depends on imports for its supply of coffee, tea, bananas and other tropical products. In general, the problem of ⑤ guaranteeing adequate food supplies is solved by relying on both domestic production and imports.
정답은?
정답
✅ ④ nutritious → productive
해설
4번 nutritious(영양가 있는)은 문맥상 어색한 표현입니다.
원문에서는 "productive"(생산성이 높은, 생산적인)이라는 단어가 사용되었으며, 이는 농업 부문의 생산 능력을 설명할 때 적절한 표현입니다.
→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농업 시스템의 양적인 생산력이지, 생산된 작물의 영양학적 가치가 아닙니다.
→ 따라서 nutritious는 의미가 어긋나며, 적절한 표현은 productive입니다.
다른 보기의 원문 단어
✔ ① ensuring (원문: insuring)
→ Insuring은 문맥상 오용된 단어이며, **정확한 동의어이자 적절한 표현은 "ensuring"**입니다.
✔ ② local (원문: domestic)
→ Domestic은 ‘국내의’, local도 ‘지역의, 국내의’라는 의미로 자연스럽게 대체됩니다.
✔ ③ vulnerable (원문: sensitive)
→ Sensitive는 ‘민감한’, vulnerable은 ‘취약한, 쉽게 영향을 받는’이라는 의미로 문맥상 적절합니다.
✔ ⑤ guaranteeing (원문: assuring)
→ Assuring은 ‘보장하다’, guaranteeing도 같은 의미로 대체 가능합니다.
2025년3월고2모의고사변형문제(36번)
3.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governments of virtually every country on the planet attach great importance to achieving food security and a wide variety of mechanisms have been developed to realize this goal. The first issue governments face in achieving national food security is the problem of insuring that adequate amounts of food are available to the resident population. Some governments have set goals of food selfsufficiency, which means most if not all of the food available in a country comes from the domestic farming system. However, food security does not require food selfsufficiency because countries can import food items not easily produced within the country. Agricultural products are, after all, highly sensitive to climatic, soil and other conditions that tend to vary around the world. Even countries with extremely productive agricultural sectors are not fully selfsufficient in all food items. The United States, for example, depends on imports for its supply of coffee, tea, bananas and other tropical products. In general, the problem of assuring adequate food supplies is solved by relying on both domestic production and imports.
① Why food security doesn’t require complete self-sufficiency
② The effects of climate and soil on food self-sufficiency
③ How governments manage domestic food production systems
④ Why some countries import tropical agricultural products
⑤ The importance of agricultural technology in food security
정답은?
정답
① Why food security doesn’t require complete self-sufficiency
✅ 정답 해설
이 글은 **식량 안보(food security)**가 모든 국가의 중요한 목표이며,
그 **달성을 위해 반드시 자급자족(food self-sufficiency)**일 필요는 없다는 점을 설명합니다.
어떤 국가는 식량 자급 목표를 세우기도 하지만,
식량 안보는 수입을 통해서도 달성할 수 있음.
기후나 토양 조건으로 인해 일부 작물은 자국에서 생산하기 어려우며,
미국조차도 커피, 바나나 등은 수입에 의존함.
결론적으로, 국내 생산과 수입의 병행이 식량 안보를 보장하는 현실적 해법이라는 것이 글의 요지입니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주제는
**① Why food security doesn’t require complete self-sufficiency (왜 식량 안보를 위해 완전한 자급자족이 필요하지 않은가)**입니다.
📝 선택지 해석
① Why food security doesn’t require complete self-sufficiency
→ 왜 식량 안보를 위해 완전한 자급자족이 필요하지 않은가 ✅ (정답)
② The effects of climate and soil on food self-sufficiency
→ 기후와 토양이 식량 자급에 미치는 영향
(❌ 일부 설명되지만 중심 주제가 아님)
③ How governments manage domestic food production systems
→ 정부가 국내 식량 생산을 관리하는 방식
(❌ 국내 생산보다 식량 안보 달성 방법이 중심)
④ Why some countries import tropical agricultural products
→ 일부 국가가 열대 농산물을 수입하는 이유
(❌ 예시일 뿐, 전체 주제가 아님)
⑤ The importance of agricultural technology in food security
→ 식량 안보에서 농업 기술의 중요성
(❌ 기술에 대한 언급 없음)
2025년3월고2모의고사변형문제(36번)
4. 다음 빈칸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은? (원문 일부 변형 문제입니다.)
The governments of virtually every country on the planet attach great importance to achieving food security and a wide variety of mechanisms have been developed to realize this goal. The first issue governments face in achieving national food security is the problem of ensuring that adequate amounts of food are available to the resident population. Some governments have set goals of food selfsufficiency, which means most if not all of the food available in a country comes from the domestic farming system. However, food security does not require food selfsufficiency because countries can import food items not easily produced within the country. Agricultural products are, after all, highly sensitive to climatic, soil and other conditions that tend to vary around the world. Even countries with extremely productive agricultural sectors are not fully selfsufficient in all food items. The United States, for example, depends on imports for its supply of coffee, tea, bananas and other tropical products. In general, the problem of assuring adequate food supplies is solved by relying on both domestic production and imports. __________.
① Food security is only achieved through complete self-sufficiency.
② Countries can easily achieve food self-sufficiency by importing tropical products.
③ Countries are completely reliant on imports to achieve food security.
④ Food security can be achieved by a combination of domestic production and imports.
⑤ Self-sufficiency in food is unnecessary for achieving food security.
정답은?
정답
④ Food security can be achieved by a combination of domestic production and imports.
풀이
④ 식량 안보는 국내 생산과 수입의 조합으로 달성할 수 있다 → 지문에서 식량 안보는 국내 생산과 수입을 결합하여 해결할 수 있다고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① 식량 안보는 완전한 자급자족을 통해서만 달성된다 → 지문에서 식량 안보는 자급자족만으로 달성되지 않는다고 언급하고 있기 때문에 틀립니다.
② 국가는 열대 제품을 수입하여 쉽게 식량 자급자족을 달성할 수 있다 → 지문에서는 열대 제품의 수입이 자급자족과 관련이 없고, 자급자족을 넘어서 수입이 필요하다고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틀립니다.
③ 국가는 식량 안보를 달성하기 위해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한다 → 지문에서 국가는 국내 생산과 수입을 결합하여 식량 안보를 해결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므로 틀립니다.
⑤ 식량 자급자족은 식량 안보를 달성하는 데 불필요하다 → 지문에서 자급자족이 식량 안보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고 언급하고 있지만, 완전히 불필요하다고 언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틀립니다.
해석
지구상의 거의 모든 국가의 정부는 식량 안보를 달성하는 데 큰 중요성을 두고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메커니즘이 개발되었습니다. 정부가 국가적인 식량 안보를 달성하는 데 직면하는 첫 번째 문제는 주민들에게 충분한 양의 식량이 제공되는지 확인하는 문제입니다. 일부 정부는 식량 자급자족 목표를 설정했으며, 이는 해당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대부분의 식량이 국내 농업 시스템에서 나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식량 안보는 반드시 식량 자급자족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국가는 쉽게 생산되지 않는 식품을 수입할 수 있습니다. 농업 제품은 결국 기후, 토양 및 다른 조건들에 매우 민감하며, 이러한 조건은 전 세계적으로 다르게 나타납니다. 매우 생산적인 농업 부문을 가진 국가들도 모든 식품 항목에서 완전한 자급자족을 이루지 못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은 커피, 차, 바나나 등 열대 제품의 공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충분한 식량 공급을 보장하는 문제는 국내 생산과 수입을 결합함으로 해결됩니다.
어휘 정리
food security 식량 안보
self-sufficiency 자급자족
agricultural products 농업 제품
climatic 기후의
soil conditions 토양 조건
import 수입하다
supply 공급
tropical products 열대 제품
domestic production 국내 생산
adequate 충분한
2025년3월고2모의고사변형문제(36번)
5.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governments of virtually every country on the planet attach great importance to achieving food security and a wide variety of mechanisms have been developed to realize this goal. The first issue governments face in achieving national food security is the problem of insuring that adequate amounts of food are available to the resident population. Some governments have set goals of food selfsufficiency, which means most if not all of the food available in a country comes from the domestic farming system. However, food security does not require food selfsufficiency because countries can import food items not easily produced within the country. Agricultural products are, after all, highly sensitive to climatic, soil and other conditions that tend to vary around the world. Even countries with extremely productive agricultural sectors are not fully selfsufficient in all food items. The United States, for example, depends on imports for its supply of coffee, tea, bananas and other tropical products. In general, the problem of assuring adequate food supplies is solved by relying on both domestic production and imports.
↓
Food security can be achieved without complete food (A)__________ by combining domestic production and (B)__________.
(A) (B)
① diversity investment
② self-sufficiency imports
③ safety exports
④ availability policy
⑤ independence technology
정답은?
✅ 정답: ② self-sufficiency ··· imports
✨ 해설:
(A) self-sufficiency (자급자족)
→ 지문에서 핵심 문장: “food security does not require food self-sufficiency”. 즉, 식량 안보는 자급자족이 필수는 아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B) imports (수입)
→ “the problem of assuring adequate food supplies is solved by relying on both domestic production and imports.” 라는 문장에서 수입의 중요성이 명확히 드러납니다.
📌 오답 해설
① diversity / investment: 식량 안보의 주요 수단으로 언급되지 않음
③ safety / exports: 안전이나 수출은 중심 주제가 아님
④ availability / policy: 식량의 이용 가능성 자체보다는 확보 수단이 논점
⑤ independence / technology: 기술이나 독립성은 보완적 요소일 수 있지만 핵심 아님
지금까지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목동 미키박영어의
2025년3월고2모의고사변형문제(36번)와 정답자료였습니다.
2025년3월고2모의고사변형문제(37번)와 정답자료도 확인해보실까요?
이 외에도
구글, 다음, 네이버, 유튜브에서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라고 검색하시면
정말 많은 모의고사 변형문제 자료들을 무료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영문법에 대한 유용한 자료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을 확인해보세요.
감사합니다.
'2025년 3월 고2모의고사 변형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3월고2모의고사변형문제(38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0) | 2025.04.22 |
---|---|
2025년3월고2모의고사변형문제(37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0) | 2025.04.21 |
2025년3월고2모의고사변형문제(35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0) | 2025.04.20 |
2025년3월고2모의고사변형문제(34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1) | 2025.04.20 |
2025년3월고2모의고사변형문제(33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