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8번)와 정답자료가 필요하시다고요?
걱정 마세요!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가 해결해 드립니다!
3등급도 전교 1등으로! (서울 영일고, 송도 박문여고)
3등급도 전교 2등으로! (서울 목동고)
5등급도 1등급으로! (서울 진명여고)
3등급도 1등급으로! (서울 마포고, 서울 신도림고)
모두가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와 함께 한 결과입니다.
목동 현대파리지앙 409호 미키박영어 (010 6693 6636)
오늘은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8번)와 정답자료를 제공해 드립니다.
좋은 내신 성적은 진심에서 나오는 거 아시죠?
38번 지문에 대한 완벽한 이해는 기본이죠?
미키박영어 - 2021년3월고1모의고사38번 해설
안녕하세요 미키박영어입니다. 2021년3월고1모의고사38번해설자료가 필요하시다고요? 걱정 마세요. 미키박...
blog.naver.com
38번 내용 확실히 익히셨으리라 믿고,
변형문제 도전 시작합니다!
Here we go!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8번)
1.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Piaget put the same amount of water into two different glasses: a tall narrow glass and a wide glass, then ①asked kids to compare two glasses. Kids younger than six or seven usually ②say that the tall narrow glass now holds more water, because the level is higher. And when they are ready, they figure out the conservation of volume for ③themselves just by playing with cups of water. Piaget argued that children’s understanding of morality is like their understanding of those water glasses: we can’t say that it is innate or kids learn it ④directly from adults. Rather, it is self‑constructed as kids play with other kids. Taking turns in a game is like pouring water back and forth between glasses. Once kids ⑤will have reached the age of five or six, then playing games and working things out together will help them learn about fairness far more effectively than any teaching from adults.
정답은?
⑤will have reached -> have reached
Once 가 '일단 ~하면' 이라는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 접속사죠?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 안에는 미래시제 대신 현재시제를 쓰죠?
그래서, 미래완료 will have reached 대신 현재완료 have reached 를 써야 합니다.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
안녕하세요재미짐영어 미키박쌤입니다.오늘은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주의사항입니다. 시중에 나온 문법책에는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시간과 조건의 부사절에서는
jammygymenglish.tistory.com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8번)
2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어색한 것은? (원문 일부 변형 문제입니다.)
Piaget put the same amount of water into two different glasses: a tall narrow glass and a wide glass, then asked kids to compare two glasses. Kids younger than six or seven usually say that the tall narrow glass now holds more water, because the level is ① taller. And when they are ready, they figure out the ② preservation of volume for themselves just by playing with cups of water. Piaget argued that children’s understanding of morality is like their understanding of those water glasses: we can’t say that it is innate or kids learn it ③ explicitly from adults. Rather, it is ④ externally‑imposed as kids play with other kids. Taking turns in a game is like pouring water back and forth between glasses. Once kids have reached the age of five or six, then playing games and working things out together will help them learn about fairness far more ⑤ powerfully than any teaching from adults.
정답은?
정답
✅ ④ externally‑imposed → self‑constructed
해설
4번 externally-imposed(외부에서 강요된)는 문맥상 어색한 표현입니다.
원문에서는 "self-constructed"(스스로 구성한, 자가 구성된)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도덕성 발달이 아이들 스스로의 놀이와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는 피아제의 핵심 주장을 나타냅니다.
→ externally-imposed는 ‘외부에서 강제로 주어진’이라는 의미로,
이 문장의 핵심 주장인 “아이들이 스스로 놀이를 통해 도덕 개념을 만들어간다”는 것과 정반대 의미이므로 부적절합니다.
→ 따라서 이 자리에 적절한 표현은 self-constructed입니다.
다른 보기의 원문 단어
✔ ① taller (원문: higher)
→ Higher는 ‘더 높은’, taller도 같은 의미로 자연스럽게 대체 가능합니다.
✔ ② preservation (원문: conservation)
→ Conservation은 ‘보존, 불변성’이라는 의미로, preservation도 유사하게 ‘보존’이라는 뜻에서 문맥상 적절합니다.
✔ ③ explicitly (원문: directly)
→ Directly는 ‘직접적으로’, explicitly는 ‘명확하게, 명시적으로’라는 뜻으로 문맥상 대체 가능합니다.
✔ ⑤ powerfully (원문: effectively)
→ Effectively는 ‘효과적으로’, powerfully는 ‘강력하게, 깊은 영향을 주게’라는 의미로, 아이들의 학습 효과를 강조하는 문맥에 적절합니다.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8번)
3. 다음 문장에 이어질 글의 순서를 정하시오.
Piaget put the same amount of water into two different glasses: a tall narrow glass and a wide glass, then asked kids to compare two glasses.
(A) Piaget argued that children’s understanding of morality is like their understanding of those water glasses: we can’t say that it is innate or kids learn it directly from adults. Rather, it is self‑constructed as kids play with other kids.
(B) Kids younger than six or seven usually say that the tall narrow glass now holds more water, because the level is higher. And when they are ready, they figure out the conservation of volume for themselves just by playing with cups of water.
(C) Taking turns in a game is like pouring water back and forth between glasses. Once kids have reached the age of five or six, then playing games and working things out together will help them learn about fairness far more effectively than any teaching from adults.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정답은?
✅ 정답:
③ (B) - (C) - (A)
✅ 정답에 대한 이유:
**(B)**는 아이들이 물의 양을 이해하는 방식에 대한 설명을 시작하며, 6세 이하의 아이들이 어떻게 물의 양 보존 개념을 익히는지 다룹니다.
**(C)**는 게임을 통해 아이들이 공정함을 배우는 과정을 설명하며, 아이들이 공정함을 배우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A)**는 아이들의 도덕성 이해가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해 설명하며, 도덕성 개념도 물컵의 개념처럼 스스로 구성된다는 점을 설명합니다.
따라서 전개 순서는 **(B) → (C) → (A)**가 가장 자연스럽고 논리적입니다.
✅ 한국어 해석:
Piaget는 같은 양의 물을 두 개의 다른 유리잔에 붓고: 하나는 길고 좁은 유리잔, 또 하나는 넓은 유리잔에 물을 붓고, 아이들에게 두 유리잔을 비교하게 했습니다.
(B) 6세 이하의 아이들은 보통 길고 좁은 유리잔이 더 많은 물을 담고 있다고 말하는데, 그 이유는 물의 수준이 더 높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준비가 되면, 아이들은 물컵을 가지고 놀면서 스스로 물의 양 보존 개념을 익힙니다.
(C) 게임에서 차례를 주고받는 것이 물컵을 주고받는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5~6세에 이르면, 게임을 하고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성인들의 교육보다 훨씬 더 효과적으로 공정함을 배우게 도와줍니다.
(A) Piaget는 아이들의 도덕성 이해가 물컵의 개념과 비슷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아이들의 도덕성은 선천적이지 않으며, 성인으로부터 배우는 것도 아니며, 아이들은 다른 아이들과 놀면서 도덕성 개념을 스스로 구성한다고 했습니다.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8번)
4. 다음 빈칸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은? (원문 일부 변형 문제입니다.)
Piaget put the same amount of water into two different glasses: a tall narrow glass and a wide glass, then asked kids to compare two glasses. Kids younger than six or seven usually say that the tall narrow glass now holds more water, because the level is higher. And when they are ready, they figure out the conservation of volume for themselves just by playing with cups of water. Piaget argued that children’s understanding of morality is like their understanding of those water glasses: we can’t say that it is innate or kids learn it directly from adults. Rather, it is self‑constructed as kids play with other kids. Taking turns in a game is like pouring water back and forth between glasses. Once kids have reached the age of five or six, then playing games and working things out together will help them learn about fairness far more effectively than any teaching from adults. __________.
① Children’s understanding of morality is directly taught by adults.
② Children’s understanding of morality is self‑constructed through interaction with peers.
③ Children’s understanding of morality is innate and not influenced by experiences.
④ Children’s understanding of fairness is best taught by formal education.
⑤ Children’s understanding of morality is mainly learned from observing adults’ behavior.
정답은?
정답
② Children’s understanding of morality is self‑constructed through interaction with peers.
풀이
② 아이들의 도덕성 이해는 또래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스스로 형성된다 → 지문에서는 아이들이 또래들과 놀며 도덕성에 대해 스스로 배우고 게임을 하면서 공평함에 대해 배우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① 아이들의 도덕성 이해는 성인들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르쳐진다 → 지문에서는 성인의 가르침보다는 또래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도덕성을 배우는 것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틀립니다.
③ 아이들의 도덕성 이해는 선천적이며 경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 지문에서는 도덕성이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므로 틀립니다.
④ 아이들의 공평성에 대한 이해는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 가장 잘 가르쳐진다 → 지문에서는 게임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배운다고 설명하고 있으므로 틀립니다.
⑤ 아이들의 도덕성 이해는 주로 성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배운다 → 성인의 행동보다 또래들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고 설명되었기 때문에 틀립니다.
해석
피아제는 두 개의 다른 유리컵에 똑같은 양의 물을 부은 후, 어린이들에게 두 유리컵을 비교하도록 했습니다. 여섯 살 이하의 어린이들은 보통 긴 유리컵이 물이 더 많다고 말하는데, 그 이유는 물의 높이가 더 높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들이 준비가 되면, 물컵을 가지고 놀면서 스스로 부피 보존 개념을 이해하게 됩니다. 피아제는 어린이들의 도덕성 이해가 이 물컵들을 이해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우리는 도덕성이 선천적이라거나 어린이들이 그것을 성인들로부터 직접 배우는 것이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오히려 그것은 어린이들이 또래들과 놀며 스스로 만들어가는 것입니다. 게임에서 차례를 지키는 것은 물을 유리컵 사이에 주고받는 것과 같습니다. 어린이들이 다섯 살이나 여섯 살이 되면, 게임을 하고 서로 협력하는 과정에서 도덕성의 개념을 성인들이 가르치는 것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배우게 됩니다. 따라서 도덕성 이해는 또래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스스로 형성됩니다.
어휘 정리
conjecture 추측
conservation of volume 부피 보존
innate 선천적인
self-constructed 스스로 형성된
fairness 공평함
moral 도덕적인
interaction 상호작용
peers 또래들
understanding 이해
game 게임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8번)
5.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Piaget put the same amount of water into two different glasses: a tall narrow glass and a wide glass, then asked kids to compare two glasses. Kids younger than six or seven usually say that the tall narrow glass now holds more water, because the level is higher. And when they are ready, they figure out the conservation of volume for themselves just by playing with cups of water. Piaget argued that children’s understanding of morality is like their understanding of those water glasses: we can’t say that it is innate or kids learn it directly from adults. Rather, it is self‑constructed as kids play with other kids. Taking turns in a game is like pouring water back and forth between glasses. Once kids have reached the age of five or six, then playing games and working things out together will help them learn about fairness far more effectively than any teaching from adults.
↓
According to Piaget, children develop concepts like volume and morality through active (A)______________ rather than passive (B)______________________.
(A) (B)
① memorization repetition
② observation instruction
③ listening explanation
④ exploration teaching
⑤ imitation discipline
정답은?
✅ 정답: ④ exploration ··· teaching
✨ 해설:
(A) exploration (탐구, 능동적 활동)
→ 지문에 따르면 아이들은 컵으로 놀아보며 자기 스스로 부피 보존 개념을 발견하고, 또래와의 놀이를 통해 도덕성과 공정성 개념을 탐구하며(explore) 배웁니다.
(B) teaching (가르침)
→ Piaget는 **“far more effectively than any teaching from adults”**라고 말하며, 단순한 성인으로부터의 가르침(teaching) 이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의 활동이 더 효과적임을 강조합니다.
📌 오답 해설
① memorization / repetition: 외우기나 반복은 Piaget 이론과 어울리지 않음
② observation / instruction: 관찰이나 지시도 중요한 학습 방식일 수 있으나, 이 글의 핵심은 능동적 활동임
③ listening / explanation: 수동적 듣기나 설명 역시 본문 주장과는 거리가 있음
⑤ imitation / discipline: 모방과 훈육은 도덕 개념 발달에 대한 핵심으로 다뤄지지 않음
지금까지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목동 미키박영어의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8번)와 정답자료였습니다.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9번)와 정답자료도 확인해보실까요?
이 외에도
구글, 다음, 네이버, 유튜브에서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라고 검색하시면
정말 많은 모의고사 변형문제 자료들을 무료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영문법에 대한 유용한 자료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을 확인해보세요.
감사합니다.
'2025년 3월 고1모의고사 변형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40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0) | 2025.04.22 |
---|---|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9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0) | 2025.04.22 |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7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0) | 2025.04.22 |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6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0) | 2025.04.21 |
2025년3월고1모의고사변형문제(35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