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37번)와 정답자료가 필요하시다고요?
걱정 마세요!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가 해결해 드립니다!
3등급도 전교 1등으로! (서울 영일고, 송도 박문여고)
3등급도 전교 2등으로! (서울 목동고)
5등급도 1등급으로! (서울 진명여고)
3등급도 1등급으로! (서울 마포고, 서울 신도림고)
모두가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와 함께 한 결과입니다.
목동 현대파리지앙 409호 미키박영어 (010 6693 6636)
오늘은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37번)와 정답자료를 제공해 드립니다.
좋은 내신 성적은 진심에서 나오는 거 아시죠?
37번 지문에 대한 완벽한 이해는 기본이죠?
미키박영어 2025년3월고3모의고사37번해설
안녕하세요 미키박영어입니다. 2025년3월고3모의고사37번해설이 필요하시다고요? 걱정 마세요. 미키박영어...
blog.naver.com
37번 내용 확실히 익히셨으리라 믿고,
변형문제 도전 시작합니다!
Here we go!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37번)
1.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Self-regulation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way to hold the tech industry to account. But when tech lobbyists speak of self-regulation, they are not describing it as it is understood by professionals like doctors. Unlike in medicine, there are no mandatory ethical qualifications for working as a software engineer or technology executive. There is no enforceable industry code of conduct. There is no obligatory certification. There is no duty to put the public ahead of profit. There are few consequences for serious moral failings; no real fear of being suspended or struck off. Recent years have seen an explosion of AI ethics charters and the like, filled with well-meaning generalities about the responsible use of powerful computers. But without consequences for violating them, these charters are just toothless statements of aspiration. The tech industry is basically saying: trust us. But blind trust is not how we govern doctors, lawyers, bankers, pilots or anyone else in unelected positions of social responsibility. Tech is the exception, and it’s not clear why.
① The Need for Stricter AI Regulations
② Trusting Tech: A Responsible Approach
③ Celebrating Progress in the Tech Industry
④ The Power of Self-Regulation in Technology
⑤ Why the Tech Industry Must Be Left Alone
정답은?
정답: ① The Need for Stricter AI Regulations
해설:
지문은 기술 업계의 자기 규제가 실질적인 책임 추궁이 되지 못하고 있으며, 의료나 법률과 달리 강제적인 윤리 기준, 자격 요건, 제재 수단 등이 부족하다는 점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또한, AI 윤리 헌장은 실질적인 구속력이 없어 ‘무기력한 선언’에 불과하다고 언급하며, 맹목적인 신뢰로는 공공 책임을 감당할 수 없다는 주장을 펼칩니다. 따라서 글의 핵심은 ‘기술 업계에 더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점이며, 이를 가장 잘 반영하는 제목은 ①번입니다.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37번)
2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어색한 것은? (원문 일부 변형 문제입니다.)
Self-regulation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way to hold the tech industry to account. But when tech lobbyists speak of self-regulation, they are not describing it as it is understood by professionals like doctors. Unlike in medicine, there are no ① compulsory ethical qualifications for working as a software engineer or technology executive. There is no ② binding industry code of conduct. There is no obligatory certification. There is no duty to put the public ahead of profit. There are few consequences for serious moral ③ breaches; no real fear of being suspended or struck off. Recent years have seen an explosion of AI ethics charters and the like, filled with well-meaning generalities about the responsible use of powerful computers. But without consequences for ④ respecting them, these charters are just toothless statements of aspiration. The tech industry is basically saying: trust us. But blind trust is not how we govern doctors, lawyers, bankers, pilots or anyone else in unelected positions of social responsibility. Tech is the ⑤ anomaly, and it’s not clear why.
정답은?
정답
✅ ④ respecting → violating
해설
4번 respecting(존중하는, 따르는)은 문맥상 어색한 표현입니다.
원문에서는 "violating"(위반하는)이 사용되었으며, 문장은 “AI 윤리 헌장을 위반해도 아무런 결과가 없다면 그것은 무력한 선언에 불과하다”는 의미입니다.
→ 여기서는 규칙을 어겼을 때 책임이 따르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는 비판을 하고 있으므로,
respecting처럼 긍정적인 의미(규칙을 지키다)는 문맥상 완전히 반대 의미가 되어 어색합니다.
→ 따라서 올바른 단어는 violating입니다.
다른 보기의 원문 단어
✔ ① compulsory (원문: mandatory)
→ Mandatory는 ‘의무적인’, compulsory도 같은 뜻으로 적절한 동의어입니다.
✔ ② binding (원문: enforceable)
→ Enforceable은 ‘강제할 수 있는’, binding은 ‘구속력이 있는’으로 법적 효력을 나타내는 의미에서 자연스럽습니다.
✔ ③ breaches (원문: failings)
→ Failings는 ‘도덕적 결함, 실패’, breaches는 ‘위반, 위배’라는 뜻으로 문맥상 적절합니다.
✔ ⑤ anomaly (원문: exception)
→ Exception은 ‘예외’, anomaly도 ‘이례적인 사례’라는 뜻으로 자연스럽게 대체되었습니다.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37번)
3.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알맞은 것은?
Self-regulation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way to hold the tech industry to account. But when tech lobbyists speak of selfregulation, they are not describing it as it is understood by professionals like doctors. Unlike in medicine, there are no mandatory ethical qualifications for working as a software engineer or technology executive. There is no enforceable industry code of conduct. There is no obligatory certification. There is no duty to put the public ahead of profit. There are few consequences for serious moral failings; no real fear of being suspended or struck off. Recent years have seen an explosion of AI ethics charters and the like, filled with wellmeaning generalities about the responsible use of powerful computers. But without consequences for violating them, these charters are just toothless statements of aspiration. The tech industry is basically saying: trust us. But blind trust is not how we govern doctors, lawyers, bankers, pilots or anyone else in unelected positions of social responsibility. Tech is the exception, and it’s not clear why.
* charter: 헌장 ** mandatory: 의무적인
① The limitations of ethical charters in guiding AI development
② The difference between self-regulation and legal accountability
③ Why trust in the tech industry is necessary but difficult
④ The dangers of unregulated self-governance in the tech industry
⑤ How professional standards in tech compare to those in other industries
정답은?
정답
④ The dangers of unregulated self-governance in the tech industry
✅ 해설
이 글은 기술 산업이 스스로를 규제(self-regulate)하겠다고 하지만, 그것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을 담고 있습니다.
의료, 법률, 금융 등 다른 전문직과 달리 기술 업계는 윤리 자격이나 제재 수단이 부족함.
AI 윤리 헌장 등은 많지만, 위반 시 아무런 실질적 결과도 없으며, 단지 좋은 말에 그침.
결국 기술 업계는 "우리를 믿어달라"고 말하지만, 사회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들에게 맹목적인 신뢰를 주는 일은 일반적이지 않음.
따라서 글의 핵심은 규제 없이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기술 산업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입니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주제는
**④ The dangers of unregulated self-governance in the tech industry (규제되지 않은 기술 산업의 자율 규제의 위험성)**입니다.
📝 선택지 해석
① The limitations of ethical charters in guiding AI development
→ AI 개발을 이끄는 데 있어 윤리 헌장의 한계
(※ 일부 내용에 해당하지만 중심은 기술 산업 전체에 대한 자율 규제의 문제임)
② The difference between self-regulation and legal accountability
→ 자율 규제와 법적 책임의 차이
(※ 글의 비교 요소 중 하나지만 핵심 메시지는 아님)
③ Why trust in the tech industry is necessary but difficult
→ 기술 산업에 대한 신뢰가 필요한 이유와 그 어려움
(※ "trust us"라는 문구가 나오긴 하지만, 신뢰가 주제는 아님)
④ The dangers of unregulated self-governance in the tech industry
→ 규제되지 않은 기술 산업의 자율 규제의 위험성 ✅ (정답)
⑤ How professional standards in tech compare to those in other industries
→ 기술 업계의 전문 기준과 다른 업계의 비교
(※ 비교는 있지만 주제가 아니라 비교는 하나의 도구로 사용됨)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37번)
4. 다음 빈칸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은? (원문 일부 변형 문제입니다.)
Self-regulation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way to hold the tech industry to account. But when tech lobbyists speak of self-regulation, they are not describing it as it is understood by professionals like doctors. Unlike in medicine, there are no mandatory ethical qualifications for working as a software engineer or technology executive. There is no enforceable industry code of conduct. There is no obligatory certification. There is no duty to put the public ahead of profit. There are few consequences for serious moral failings; no real fear of being suspended or struck off. Recent years have seen an explosion of AI ethics charters and the like, filled with well-meaning generalities about the responsible use of powerful computers. But without consequences for violating them, these charters are just toothless statements of aspiration. The tech industry is basically saying: trust us. But blind trust is not how we govern doctors, lawyers, bankers, pilots or anyone else in unelected positions of social responsibility. Tech is the exception, and it’s not clear why. __________.
① Self-regulation is a widely accepted practice for all industries
② The tech industry is not held to the same standards of accountability as other professions
③ There is a strong system of checks and balances in the tech industry
④ The tech industry is generally praised for its ethical standards and accountability
⑤ The tech industry’s self-regulation is strictly enforced by an external body
정답은?
정답
② The tech industry is not held to the same standards of accountability as other professions
풀이
② 기술 산업은 다른 직업들처럼 동일한 수준의 책임을 지지 않는다 → 지문에서 기술 산업이 다른 직업들과 달리 명확한 규제나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언급하고 있으며, 특히 의사, 변호사, 은행가와 같은 직업들과 비교하여 다르게 다뤄지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① 자율 규제는 모든 산업에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관행이다 → 지문에서는 기술 산업의 자율 규제가 다른 산업들과 다르다는 내용이므로 틀립니다.
③ 기술 산업은 강력한 견제와 균형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 지문에서 기술 산업은 자율 규제에 의존하고 있으며, 견제 시스템이 부족하다고 설명하고 있으므로 틀립니다.
④ 기술 산업은 일반적으로 윤리 기준과 책임에 대해 칭찬받는다 → 지문에서 기술 산업은 윤리적 기준과 책임을 제대로 갖추지 못했다고 언급하고 있으므로 틀립니다.
⑤ 기술 산업의 자율 규제는 외부 기관에 의해 엄격하게 시행된다 → 지문에서 기술 산업의 자율 규제가 외부 기관에 의해 시행되지 않는다고 설명하고 있으므로 틀립니다.
해석
자율 규제는 기술 산업을 책임지게 만드는 대체적인 방법으로 제안되었습니다. 하지만 기술 로비스트들이 자율 규제에 대해 이야기할 때, 의사와 같은 전문가들이 이해하는 방식과는 다릅니다. 의료 분야와 달리,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나 기술 임원이 되기 위한 필수 윤리 자격이 없습니다. 산업 행동 강령도 없고, 의무적인 인증도 없으며, 공공의 이익을 이익보다 우선시할 의무도 없습니다. 심각한 도덕적 실패에 대한 결과도 거의 없고, 정직되거나 직위에서 해제될 두려움도 없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AI 윤리 강령과 같은 것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이는 강력한 컴퓨터 사용에 대한 책임감 있는 일반적인 원칙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들을 위반했을 때 결과가 없다면, 이 강령은 실질적인 의도만 담긴 말로, 실질적인 힘이 없습니다. 기술 산업은 기본적으로 '우리를 믿으세요'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맹목적인 신뢰는 의사, 변호사, 은행가, 파일럿 또는 사회적 책임이 있는 직위에 있는 사람들을 다룰 때 우리가 사용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기술은 예외이며, 그 이유가 명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술 산업은 다른 직업들과 같은 수준의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어휘 정리
self-regulation 자율 규제
accountability 책임
ethical qualifications 윤리 자격
enforceable 시행 가능한
industry code of conduct 산업 행동 강령
peer review 동료 평가
responsibility 책임감
profession 직업
aspiration 열망, 소망
public trust 공공의 신뢰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37번)
5.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Self-regulation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way to hold the tech industry to account. But when tech lobbyists speak of selfregulation, they are not describing it as it is understood by professionals like doctors. Unlike in medicine, there are no mandatory ethical qualifications for working as a software engineer or technology executive. There is no enforceable industry code of conduct. There is no obligatory certification. There is no duty to put the public ahead of profit. There are few consequences for serious moral failings; no real fear of being suspended or struck off. Recent years have seen an explosion of AI ethics charters and the like, filled with wellmeaning generalities about the responsible use of powerful computers. But without consequences for violating them, these charters are just toothless statements of aspiration. The tech industry is basically saying: trust us. But blind trust is not how we govern doctors, lawyers, bankers, pilots or anyone else in unelected positions of social responsibility. Tech is the exception, and it’s not clear why.
* charter: 헌장 ** mandatory: 의무적인
↓
The tech industry promotes self-regulation but lacks meaningful (A)____________ and professional (B)_____________.
(A) (B)
① incentives productivity
② algorithms motivation
③ accountability standards
④ technology networks
⑤ investment infrastructure
정답은?
✅ 정답: ③ accountability ··· standards
✨ 해설:
(A) accountability (책임)
→ 지문 전반에서 강조되는 문제는 자율 규제에 책임(accountability) 이 따르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위반 시 “few consequences”라는 표현이 반복됩니다.
(B) standards (기준)
→ “no mandatory ethical qualifications,” “no enforceable code of conduct,” “no obligatory certification” 등에서 알 수 있듯, 전문적인 기준(standards) 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 핵심 비판입니다.
📌 오답 해설
① incentives: 유인은 주제와 직접 연결되지 않음
② algorithms: 알고리즘은 기술 요소일 뿐 윤리 규정과 무관
④ technology: 기술 자체가 핵심이 아님
⑤ investment / infrastructure: 산업 구조나 투자와는 관련이 없음
지금까지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목동 미키박영어의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37번)와 정답자료였습니다.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38번)와 정답자료도 확인해보실까요?
이 외에도
구글, 다음, 네이버, 유튜브에서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라고 검색하시면
정말 많은 모의고사 변형문제 자료들을 무료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영문법에 대한 유용한 자료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을 확인해보세요.
감사합니다.
'2025년 3월 고3모의고사 변형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38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0) | 2025.04.22 |
---|---|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순서추론 및 문장삽입 유형)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1) | 2025.04.21 |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36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1) | 2025.04.09 |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35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0) | 2025.04.07 |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34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1)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