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쌤입니다.
3등급이 전교 1등으로!
(목동 영일고, 송도 박문여고)
바로 미키박쌤과 함께라 가능했습니다!
오늘은 2023년 5월 고3 모의고사 35번 해설, 어휘정리,변형문제입니다.
먼저
한 줄 해석 및 중요 문법 사항을 확인하시고, 35번 변형문제를 풀어보시겠습니다.
시작할까요?
Here we go!
One of the branches of postmodernism examines the structure of language and how it is used.
포스트모더니즘의 분파 중 하나는 언어의 구조와 그것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살펴본다.
the structure of language and how it is used
부분을 주목합니다. and 로 병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병렬은 '같은 품사 혹은 같은 문장 성분끼리 나열'이 원칙입니다.
여기서는 명사 the structure of language and 명사절 how it is used로 병렬되었습니다.
and 를 이용한 병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and
안녕하세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입니다. 오늘은 and 사용법입니다. '그리고' 아니면 '~과' 아닌가? 그렇죠. 그럼, 치킨 그리고 피자? 아, 그러니까 치킨과 피자? 네, 맞습니다. chicken and pizza 정말 쉽
jammygymenglish.tistory.com
One of the branches of postmodernism examines the structure of language and how it is used.
포스트모더니즘의 분파 중 하나는 언어의 구조와 그것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살펴본다.
-> 포스트모더니즘은 언어 구조는 어떤가? 그리고 언어는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연구하기도 하는군요?
It challenges the assumption that language can be precisely used to represent reality.
그것은 언어가 현실을 나타내는 데 정확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가정에 이의를 제기한다.
the assumption that 을 주목합니다. the assumption (가정 : 추상적 의미의 명사) + that(동격의 접속사 that : ~라는) + 완전문
-> 시험에서는 동격의 접속사 that 을 which 로 바꿔 출제되기도 합니다. 속지 마세요!
used 관련 표현입니다.
used to V : V하곤 했다
be used to V : V하는데 사용되다
be used to ~ing : ~하는데 익숙하다
It challenges the assumption that language can be precisely used to represent reality.
그것은 언어가 현실을 나타내는 데 정확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가정에 이의를 제기한다.
-> 언어가 현실을 나타내는 데 정확하게 사용될 수는 없다! 라는 주장입니다.
그럼, 언어를 사용해서 현실을 나타내는 것에는 분명히 한계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Meanings of words are ambiguous, as words are only signs or labels given to concepts (what is signified) and therefore there is no necessary correspondence between the word and the meaning,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단어는 단지 개념(의미되는 바)에 주어진 기호 또는 표호이고 따라서 단어와 그 의미, 즉 기표(꾼標)와 기의(꾼意) 사이에는 필연적인 상응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단어의 의미는 모호하다.
signs or labels given 을 주목합니다.
give 의 과거분사가 given 이죠?
해석 방법 : 명사 + 과거분사 =~된 명사
signs or labels given : 주어진 기호 또는 표호
과거분사의 모든 것:
과거분사
안녕하세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입니다. 3등급이 전교 1등으로! (목동 영일고, 송도 박문여고) 바로 재미짐영어 미키박쌤과 함께라 가능했습니다! 오늘은 과거분사 설명입니다. 과거분
jammygymenglish.tistory.com
Meanings of words are ambiguous, as words are only signs or labels given to concepts (what is signified) and therefore there is no necessary correspondence between the word and the meaning,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단어는 단지 개념(의미되는 바)에 주어진 기호 또는 표호이고 따라서 단어와 그 의미, 즉 기표(꾼標)와 기의(꾼意) 사이에는 필연적인 상응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단어의 의미는 모호하다.
-> 말이 어렵고 복잡해 보이죠? 내용은 간단합니다.
단어는 그냥 기호에 불과하다는 겁니다.
그리고, 단어로 표현하고 싶은 내용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는 없다는 겁니다. 왜냐하면,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에 꼭 맞는 단어가 없기 때문이죠.
The use of signs (words) and their meaning can vary depending on the flow of the text in which they are used, leading to the possibility of ‘deconstructing’ text to reveal its underlying inconsistencies.
기호(단어)의 사용과 그것의 의미는 그것이 사용되는 텍스트의 흐름에 따라 다양할 수 있고, 이것은 그것의 기저에 있는 불일치성을 드러내기 위해 텍스트를 ‘해체할’ 가능성으로 이어진다.
leading 을 주목합니다.
분사구문이죠? 분사구문은 '현재분사'혹은 '과거분사'와 다른 단어들로 이루어진 '부사구'입니다.
더 중요한 것은, 현재분사건 과거분사건 모두 '준동사'라는 점입니다.
준동사는 동사의 개수로 치지 않죠?
leading 의 자리가 동사가 아닌 준동사라는 점을 가장 주목하세요!
시험에서는 동사를 준동사로, 준동사를 동사로 바꿔 출제되기도 합니다.
즉, leading 을 led (앞에 used 가 보이는군요)로 바꿔 출제될 수도 있습니다. 속지 마세요!
준동사의 개념 알아보기 :
준동사
안녕하세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입니다. 오늘은 준동사의 개념 및 동사와 준동사의 구분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동사가 뭔지는 아시죠? 네, 바로 '움직임'을 나타내는 말이죠? 말을 타다, 말을 하
jammygymenglish.tistory.com
The use of signs (words) and their meaning can vary depending on the flow of the text in which they are used, leading to the possibility of ‘deconstructing’ text to reveal its underlying inconsistencies.
기호(단어)의 사용과 그것의 의미는 그것이 사용되는 텍스트의 흐름에 따라 다양할 수 있고, 이것은 그것의 기저에 있는 불일치성을 드러내기 위해 텍스트를 ‘해체할’ 가능성으로 이어진다.
단어의 사용은 글의 흐름(상황)에 따라 다른 의미를 지닐 수 있다는 겁니다. -> 이 점은 우리가 이미 알고 있죠?
내가 알고 있는 단어라 생각했는데, 문맥에 따라 다른 의미를 지닌 단어가 되기도 한다능....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16.gif)
This approach can be applied to all forms of representation—pictures, films, etc. that gain added or alternative meanings by the overlaying of references to previous uses.
이러한 접근법은 모든 형태의 표상, 즉 외연을 이전의 사용에 덧씌움을 통해 추가된 혹은 대안적인 의미를 얻는 사진, 영화 등에 적용될 수 있다.
that gain 을 주목합니다. 관계대명사 that 이죠? 관계대명사는 앞의 명사인 선행사(이 문장에서는 forms 가 선행사입니다)를 가리키죠?
주의할 것은 '관계대명사 바로 앞의 명사가 선행사가 아닐 수도 있으니, 반드시 해석으로 구분하라'입니다.
이 문장에서도 gain 얻는 ... 누가 얻는 거죠? 네, 앞의 forms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얻는 모든 형태들' 이 옳습니다. (절대로 representation 에 속지 마세요!)
-> 시험에서는 gains 라고 바꿔 출제될 수도 있으니, 속지 마세요!
선행사에 대해 더 알아보기:
선행사
안녕하세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입니다. 오늘은 영어 선행사의 개념과 이를 활용해보는 포스팅입니다. 이 포스팅에서 가장 중요한 시험 출제 포인트를 알려드립니다. (빨간 블록이 틀린 부분으
jammygymenglish.tistory.com
This approach can be applied to all forms of representation—pictures, films, etc. that gain added or alternative meanings by the overlaying of references to previous uses.
이러한 접근법은 모든 형태의 표상, 즉 외연을 이전의 사용에 덧씌움을 통해 추가된 혹은 대안적인 의미를 얻는 사진, 영화 등에 적용될 수 있다.
-> 이러한 접근법 : 앞문장 전체를 가리킵니다. 즉, 단어는 얼마든지 상황에 따라 다른 의미를 지닐 수 있고, 그에 맞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
This can be seen particularly in the media, wher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real from the unreal—everything is representation, there is no reality.
이것은 특히 미디어에서 보여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 실제와 가상을 구별하기 어려우며 모든 것은 표상이고 현실은 없다.
where부분을 주목합니다. 관계부사 where 입니다.
관계부사 when, where, why, how + 완전문입니다.
관계부사 + 완전문 = 관계사절 이라고 하죠? 관계사절 = 형용사절
이 말은, '관계사절은 앞의 명사를 수식한다'는 의미입니다.
문장에서 살펴보면, 앞의 media 를 수식하는 상황입니다.
시험에서는 관계부사 관련 여러 문제들이 출제되는데요,
가장 대표적인 문제 유형 2가지를 알려드립니다.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관계부사에 밑줄 친 문제라면?
1. 관계대명사냐 관계부사냐 (하위 난이도)
-> which 냐 where 냐?
(which + 불완전문 / where + 완전문)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 구분
안녕하세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입니다. 오늘은 헷갈리는 문법 중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의 구분에 관한 내용입니다. 핵심입니다. 관계대명사 + 불완전문 관계부사 + 완전문 끝. 이걸 이해하시
jammygymenglish.tistory.com
2. 관계부사냐 부사냐 (고난이도)
-> where 냐 there 냐
(where : 연결사 / there : 연결사 아님)
연결사
안녕하세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입니다. 오늘은 연결사에 대해 알아봅니다. 연결사? 말 그대로 '연결해주는 말'입니다. 그런데, 뭘 연결해? 영어의 연결사는, 절과 절을 연결해준다는 말입니다.
jammygymenglish.tistory.com
본문을 다시 보시면,
This can be seen particularly in the media, wher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real from the unreal—everything is representation, there is no reality.
이것은 특히 미디어에서 보여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 실제와 가상을 구별하기 어려우며 모든 것은 표상이고 현실은 없다.
시험에서는 where 를 there 로 바꿔 출제될 수 있습니다. 속지 마세요!!
지금까지 아주 상세한 내용정리와 어법 핵심을 파악하셨습니다.
그러면, 이제는 동의어가 포함된 어휘정리자료를 드립니다!
영어 (English) | 한국어 (Korean) | Synonym (동의어) |
branches | 분야들 | divisions |
postmodernism | 포스트모더니즘 | postmodernity |
examines | 조사하다 | investigates |
structure | 구조 | framework |
language | 언어 | communication |
challenges | 도전하다 | questions |
assumption | 가정 | presumption |
precisely | 정확하게 | accurately |
represent | 대표하다 | portray |
reality | 현실 | actuality |
meanings | 의미들 | significances |
ambiguous | 애매한 | unclear |
signs | 표지 | symbols |
labels | 라벨 | tags |
concepts | 개념들 | ideas |
necessary | 필요한 | essential |
correspondence | 대응 | correlation |
word | 단어 | term |
meaning | 의미 | sense |
signifier | 지시자 | indicator |
signified | 지시대상 | representation |
use | 사용 | utilization |
vary | 변동하다 | differ |
depending | 의존적으로 | contingent |
flow | 흐름 | movement |
text | 텍스트 | written material |
deconstructing | 분해 | analyzing |
reveal | 드러내다 | unveil |
underlying | 근본적인 | fundamental |
inconsistencies | 모순 | contradictions |
approach | 접근법 | method |
applied | 적용된 | employed |
forms | 형태들 | types |
representation | 대표 | depiction |
pictures | 그림들 | images |
films | 영화 | movies |
gain | 얻다 | acquire |
added | 추가된 | extra |
alternative | 대체 | different |
overlaying | 적층 | superimposing |
references | 참고자료 | citations |
previous | 이전 | prior |
media | 매체 | medium |
difficult | 어려운 | challenging |
distinguish | 구별하다 | differentiate |
real | 실제 | actual |
unreal | 실재하지 않는 | imaginary |
representation | 대표 | portrayal |
reality | 현실 | actuality |
내용 정리, 어법 파악, 어휘 정리가 모두 끝났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19.gif)
이제 마무리입니다.
바로 변형문제 풀기입니다!
Here we go!
35번 변형문제 1번 |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
One of the branches of postmodernism examines the structure of language and how it is used. It challenges the assumption ①that language can be precisely used to represent reality. Meanings of words are ambiguous, as words are only signs or labels given to concepts (what is signified) and therefore there ②is no necessary correspondence between the word and the meaning,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The use of signs (words) and their meaning can vary depending on the flow of the text in which they are used, ③leading to the possibility of ‘deconstructing’ text to reveal its underlying inconsistencies. This approach can be applied to all forms of representation—pictures, films, etc. that ④gain added or alternative meanings by the overlaying of references to previous uses. This can be seen particularly in the media, ⑤ther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real from the unreal—everything is representation, there is no reality. |
정답은?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14.gif)
⑤there -> where
This can be seen particularly in the media, ⑤ther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real from the unreal—everything is representation, there is no reality.
절과 절이 합쳐진 문장입니다. 따라서, 연결사인 관계부사 where 로 써야 합니다. (연결사가 있으므로 동사가 2개 - can, is - 입니다.)
연결사의 개념 :
연결사
안녕하세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입니다. 오늘은 연결사에 대해 알아봅니다. 연결사? 말 그대로 '연결해주는 말'입니다. 그런데, 뭘 연결해? 영어의 연결사는, 절과 절을 연결해준다는 말입니다.
jammygymenglish.tistory.com
35번 변형문제 2번 |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어색한 것은? (원문 변형 문제입니다.) |
One of the branches of postmodernism examines the structure of language and how it is used. It challenges the assumption that language can be precisely used to ①depict reality. Meanings of words are ②vague, as words are only signs or labels given to concepts (what is signified) and therefore there is no necessary correspondence between the word and the meaning,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The use of signs (words) and their meaning can vary depending on the flow of the text in which they are used, leading to the possibility of ‘deconstructing’ text to reveal its underlying ③consistencies. This approach can be applied to all forms of representation—pictures, films, etc. that ④acquire added or alternative meanings by the overlaying of references to previous uses. This can be seen particularly in the media, where it is ⑤challenging to distinguish the real from the unreal—everything is representation, there is no reality. |
정답은?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13.gif)
③consistencies (일치) -> inconsistencies
참고 :
①depict (원문 : represent )
②vague (원문 : ambiguous )
④acquire (원문 : gain )
⑤ challenging (원문 : difficult)
35번 변형문제 3번 |
다음 글에 이어질 순서를 정하시오. |
One of the branches of postmodernism examines the structure of language and how it is used. |
(A) The use of signs (words) and their meaning can vary depending on the flow of the text in which they are used, leading to the possibility of ‘deconstructing’ text to reveal its underlying inconsistencies. This approach can be applied to all forms of representation—pictures, films, etc. that gain added or alternative meanings by the overlaying of references to previous uses. (B) It challenges the assumption that language can be precisely used to represent reality. Meanings of words are ambiguous, as words are only signs or labels given to concepts (what is signified) and therefore there is no necessary correspondence between the word and the meaning,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C) This can be seen particularly in the media, wher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real from the unreal—everything is representation, there is no reality. |
정답은?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18.gif)
B-A-C
35번 변형문제 4번 |
다음 빈칸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은? (원문 전체 변형문제입니다.) |
One aspect of postmodernism explores how language functions and questions the belief that ____________. Words have multiple interpretations as they merely symbolize concepts, lacking a fixed correspondence between the word and its meaning. The meaning of words can vary depending on the context, allowing for the analysis of texts to expose hidden inconsistencies. This analytical approach applies to various mediums, such as pictures and films, which acquire additional or alternative interpretations through references to past usage. This phenomenon i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media, where discerning reality from fiction becomes challenging since everything is a form of representation without a concrete reality. ① It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refer to a specific ② it may reflec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③ it accurately represents reality ④ it cannot properly express the speaker's intention ⑤ it may not reflect the specific situation properly |
정답은?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14.gif)
③ it accurately represents reality
그것은 현실을 정확하게 나타낸낸다
참고 :
① It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refer to a specific
그것은 반드시 특정한 것을 지칭한다고 할 수는 없다
② it may reflec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그것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반영될 수도 있다
③ it accurately represents reality
그것은 현실을 정확하게 나타낸다
④ it cannot properly express the speaker's intention
그것은 화자의 의도를 제대로 표현할 수 없다
⑤ it may not reflect the specific situation properly
그것은 특정 상황을 제대로 반영할 수는 없다
35번 변형문제 5번 |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알맞은 것은? |
One of the branches of postmodernism examines the structure of language and how it is used. It challenges the assumption that language can be precisely used to represent reality. Meanings of words are ambiguous, as words are only signs or labels given to concepts (what is signified) and therefore there is no necessary correspondence between the word and the meaning,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The use of signs (words) and their meaning can vary depending on the flow of the text in which they are used, leading to the possibility of ‘deconstructing’ text to reveal its underlying inconsistencies. This approach can be applied to all forms of representation—pictures, films, etc. that gain added or alternative meanings by the overlaying of references to previous uses. This can be seen particularly in the media, wher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real from the unreal—everything is representation, there is no reality. |
↓ |
Postmodernism questions language's ability to accurately _____(A)______reality, as words are subjective and open to interpretation, allowing for ______(B)________and multiple meanings across different forms of representation like media. (A) (B) ① assure decomposition ② deny degradation ③ accept multiplication ④ depict deconstruction ⑤ capture confusion |
정답은?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14.gif)
④ depict deconstruction
Postmodernism questions language's ability to accurately depict reality, as words are subjective and open to interpretation, allowing for deconstruction and multiple meanings across different forms of representation like media.
포스트모더니즘은 언어가 현실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능력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단어는 주관적이고 해석에 개방적이어서 미디어와 같은 다양한 표현 형식에 걸쳐 해체와 다중 의미를 허용하기 때문입니다.
참고 :
① assure 확신하다 decomposition 분해
② deny 부정하다 degradation 퇴화
③ accept 받아들이다 multiplication 증식
⑤ capture 포착하다 confusion 혼란
지금까지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쌤의
2023년 5월 고3 모의고사 35번 해설 및 변형문제를 연습하셨습니다.
다음 자료인 2023년 5월 고3 모의고사 36번 해설 및 변형문제도 확인해보실까요?
36번 확인하기
2023년 5월 고3 모의고사 36번 해설, 어휘 정리, 변형문제
안녕하세요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쌤입니다. 3등급이 전교 1등으로! (목동 영일고, 송도 박문여고) 바로 미키박쌤과 함께라 가능했습니다! 오늘은 2023년 5월 고3 모의고사 36번 해설, 어휘
mickeypark999.tistory.com
이 외에도
구글, 다음, 네이버, 유튜브에서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쌤이라고 검색하시면
정말 많은 모의고사 변형문제 자료들을 무료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년 5월 고3모의고사 변형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5월 고3 모의고사 37번 해설, 어휘 정리, 변형문제 (0) | 2023.06.08 |
---|---|
2023년 5월 고3 모의고사 36번 해설, 어휘 정리, 변형문제 (2) | 2023.05.31 |
2023년 5월 고3 모의고사 29번 해설, 어휘 정리, 변형문제 (0) | 2023.05.31 |
2023년 5월 고3 모의고사 30번 해설, 어휘 정리, 변형문제 (0) | 2023.05.30 |
2023년 5월 고3 모의고사 34번 해설, 어휘 정리, 변형문제 (3) | 2023.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