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40번)와 정답자료가 필요하시다고요?
걱정 마세요!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가 해결해 드립니다!
3등급도 전교 1등으로! (서울 영일고, 송도 박문여고)
3등급도 전교 2등으로! (서울 목동고)
5등급도 1등급으로! (서울 진명여고)
3등급도 1등급으로! (서울 마포고, 서울 신도림고)
모두가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와 함께 한 결과입니다.
목동 현대파리지앙 409호 미키박영어 (010 6693 6636)
오늘은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40번)와 정답자료를 제공해 드립니다.
좋은 내신 성적은 진심에서 나오는 거 아시죠?
40번 지문에 대한 완벽한 이해는 기본이죠?
미키박영어 2025년3월고3모의고사40번해설
안녕하세요 미키박영어입니다. 2025년3월고3모의고사40번해설이 필요하시다고요? 걱정 마세요. 미키박영어...
blog.naver.com
40번 내용 확실히 익히셨으리라 믿고,
변형문제 도전 시작합니다!
Here we go!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40번)
1.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It may be assumed that meta‑algorithmics, that is, the creation of algorithms that generate other algorithms, is a human creation as well. A human programmer must ①have composed the first algorithm that, in turn, generates new algorithms and as such the initial programmer must be in control of the original idea. However, this is not necessarily true. Unlike humanly conceived ideas, where the author is the intellectual owner of the idea, algorithms are processes that define, describe, and implement a series of actions that in turn ②to produce other actions. ③During the transfer of actions it is possible for a discrepancy to occur between the original intention and the actual result. If that happens then, by definition, the author of the algorithm is not in control of, and therefore does not own intellectually from that point on, the ④resulting process. Theoretically, ownership of an idea is ⑤intrinsically connected to the predictability of its outcome, that is, to its intellectual control. Therefore, in the absence of human control the ownership of the algorithmic process must be instead credited to the device that produced it, that is, to the computer.
정답은?
②to produce -> produce
-> 앞의 actions that 을 보시면, that 이 관계대명사라는 것을 알 수 있죠?
관계대명사 that + 불완전문이죠?
불완전문은 주어, 목적어, 보어 중 하나가 빠진 구조죠?
본문에서는 주어가 없네요. 그래서, 동사 produce 가 옳습니다.
앞의 in turn 은 전치사구이니 빼고 판단하시면 되죠?
to produce 는 동사가 아닌 준동사죠?
준동사
안녕하세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입니다. 오늘은 준동사의 개념 및 동사와 준동사의 구분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영상으로 확인하기 : 준동사와 동사, 연결사 개념 동사가 뭔지는 아시죠? 네, 바
jammygymenglish.tistory.com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40번)
2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어색한 것은? (원문 일부 변형 문제입니다.)
It may be assumed that meta‑algorithmics, that is, the creation of algorithms that generate other algorithms, is a human creation as well. A human programmer must have composed the first algorithm that, in turn, generates new algorithms and as such the initial programmer must be in control of the original idea. However, this is not necessarily true. Unlike humanly ① formulated ideas, where the author is the intellectual owner of the idea, algorithms are processes that define, describe, and implement a series of actions that in turn produce other actions. During the transfer of actions it is possible for a ② mismatch to occur between the original intention and the actual result. If that happens then, by definition, the author of the algorithm is not in control of, and therefore does not ③ possess intellectually from that point on, the resulting process. Theoretically, ownership of an idea is ④ inherently connected to the predictability of its outcome, that is, to its intellectual control. Therefore, in the ⑤ presence of human control the ownership of the algorithmic process must be instead credited to the device that produced it, that is, to the computer.
정답은?
정답
✅ ⑤ presence → absence
해설
5번 presence(존재, 있음)은 문맥상 어색한 표현입니다.
원문에서는 "absence"(부재, 없음)이라는 단어가 사용되었으며, 문장은 인간의 통제가 없을 경우에 알고리즘의 소유권을 컴퓨터에 귀속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 **"in the presence of human control"**은 **"인간의 통제가 있는 경우"**라는 의미가 되어, 그 뒤 문장인
**"소유권을 컴퓨터에 귀속시켜야 한다"**는 논리와 정면으로 충돌하게 됩니다.
→ 따라서 올바른 표현은 absence of human control입니다.
다른 보기의 원문 단어
✔ ① formulated (원문: conceived)
→ Conceived는 ‘생각해낸, 고안된’, formulated도 ‘공식화된, 만들어진’으로 문맥상 자연스럽습니다.
✔ ② mismatch (원문: discrepancy)
→ Discrepancy는 ‘불일치, 차이’, mismatch도 비슷한 의미로 적절하게 사용되었습니다.
✔ ③ possess (원문: own)
→ Own intellectually는 ‘지적 소유권을 가지다’, possess도 유사한 의미로 적절합니다.
✔ ④ inherently (원문: intrinsically)
→ Intrinsically는 ‘본질적으로’, inherently도 같은 의미로 문맥상 자연스럽습니다.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40번)
3. 다음 문장에 이어질 글의 순서를 정하시오.
It may be assumed that meta‑algorithmics, that is, the creation of algorithms that generate other algorithms, is a human creation as well. A human programmer must have composed the first algorithm that, in turn, generates new algorithms and as such the initial programmer must be in control of the original idea.
(A) Theoretically, ownership of an idea is intrinsically connected to the predictability of its outcome, that is, to its intellectual control. Therefore, in the absence of human control the ownership of the algorithmic process must be instead credited to the device that produced it, that is, to the computer.
(B) However, this is not necessarily true. Unlike humanly conceived ideas, where the author is the intellectual owner of the idea, algorithms are processes that define, describe, and implement a series of actions that in turn produce other actions.
(C) During the transfer of actions it is possible for a discrepancy to occur between the original intention and the actual result. If that happens then, by definition, the author of the algorithm is not in control of, and therefore does not own intellectually from that point on, the resulting process.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정답은?
✅ 정답:
③ (B) - (C) - (A)
✅ 정답에 대한 이유:
**(B)**는 알고리즘이 사람의 의도와 다르게 작동할 수 있다는 점, 알고리즘이 사람의 창작물과 다르게 동작한다는 점을 설명합니다.
**(C)**는 알고리즘 실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불일치와 그로 인한 저자의 통제 부족에 대해 다루며, 알고리즘의 저자가 결과에 대해 통제권을 잃게 되는 경우를 설명합니다.
**(A)**는 아이디어의 소유권이 예측 가능한 결과와 그 지적 통제에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다루며, 결국 인간의 통제 없이 알고리즘의 소유권은 컴퓨터에 귀속된다는 이론적 설명을 합니다.
따라서 전개 순서는 **(B) → (C) → (A)**가 가장 자연스럽고 논리적입니다.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40번)
4. 다음 빈칸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은? (원문 일부 변형 문제입니다.)
It may be assumed that meta‑algorithmics, that is, the creation of algorithms that generate other algorithms, is a human creation as well. A human programmer must have composed the first algorithm that, in turn, generates new algorithms and as such the initial programmer must be in control of the original idea. However, this is not necessarily true. Unlike humanly conceived ideas, where the author is the intellectual owner of the idea, algorithms are processes that define, describe, and implement a series of actions that in turn produce other actions. During the transfer of actions it is possible for a discrepancy to occur between the original intention and the actual result. If that happens then, by definition, the author of the algorithm is not in control of, and therefore does not own intellectually from that point on, the resulting process. Theoretically, ownership of an idea is intrinsically connected to the predictability of its outcome, that is, to its intellectual control. Therefore, in the absence of human control the ownership of the algorithmic process must be instead credited to the device that produced it, that is, to the ________.
① machine intelligence
② algorithm creator
③ computer
④ software developer
⑤ programmer’s team
정답은?
정답
③ computer
풀이
③ 컴퓨터 → 지문에서는 알고리즘이 사람이 아니라 컴퓨터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며, 인간의 통제 없이 결과가 나온 경우 알고리즘의 소유권은 컴퓨터로 돌아가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가 정답입니다.
① 기계 지능 → 지문에서는 알고리즘의 소유권이 기계 지능에 있지 않고, 컴퓨터에 있다고 설명되므로 틀립니다.
② 알고리즘 창작자 → 알고리즘의 창작자가 통제할 수 없게 된 경우에 대한 설명이므로 틀립니다.
④ 소프트웨어 개발자 →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알고리즘을 만든 사람을 말하지만, 알고리즘의 소유권이 개발자에게 있지 않다는 지문 내용과 맞지 않으므로 틀립니다.
⑤ 프로그래머의 팀 → 지문에서는 개별 프로그래머나 팀의 통제가 아니라 컴퓨터에 소유권이 있다고 설명하므로 틀립니다.
해석
메타 알고리즘학, 즉 다른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만드는 것은 인간의 창조물이라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인간 프로그래머가 최초의 알고리즘을 작성했을 것이며, 이 알고리즘은 새로운 알고리즘을 생성하고, 따라서 최초의 프로그래머는 원래의 아이디어에 대해 통제권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반드시 사실이 아닙니다. 인간이 고안한 아이디어와 달리, 알고리즘은 일련의 작업을 정의하고 설명하며 이를 실행하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작업의 전달 중에 원래 의도와 실제 결과 사이에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정의상 알고리즘의 창작자는 더 이상 해당 과정에 대해 통제하지 않으며, 따라서 그 이후로는 그 과정에 대한 지적 소유권을 가지지 않습니다. 이론적으로 아이디어의 소유권은 그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능력, 즉 그 지적 통제와 본질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인간의 통제가 없을 경우, 알고리즘 과정의 소유권은 이를 생성한 장치, 즉 컴퓨터에 귀속되어야 합니다.
어휘 정리
meta‑algorithmics 메타 알고리즘학
intellectual 지적, 지성의
discrepancy 불일치, 차이
predictability 예측 가능성
ownership 소유권
outcome 결과
device 장치
algorithm 알고리즘
process 과정
control 통제, 제어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40번)
5.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알맞은 것은?
It may be assumed that meta‑algorithmics, that is, the creation of algorithms that generate other algorithms, is a human creation as well. A human programmer must have composed the first algorithm that, in turn, generates new algorithms and as such the initial programmer must be in control of the original idea. However, this is not necessarily true. Unlike humanly conceived ideas, where the author is the intellectual owner of the idea, algorithms are processes that define, describe, and implement a series of actions that in turn produce other actions. During the transfer of actions it is possible for a discrepancy to occur between the original intention and the actual result. If that happens then, by definition, the author of the algorithm is not in control of, and therefore does not own intellectually from that point on, the resulting process. Theoretically, ownership of an idea is intrinsically connected to the predictability of its outcome, that is, to its intellectual control. Therefore, in the absence of human control the ownership of the algorithmic process must be instead credited to the device that produced it, that is, to the computer.
① The future of AI-generated ideas in software development
② How human control ensure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programming
③ The limitations of human authorship in algorithm design
④ Why programmers must carefully monitor algorithmic processes
⑤ The challenge of assigning intellectual ownership in meta-algorithmics
정답은?
정답
⑤ The challenge of assigning intellectual ownership in meta-algorithmics
✅ 정답 해설
이 글은 **알고리즘이 다른 알고리즘을 만들어내는 메타-알고리즘(meta-algorithmics)**의 맥락에서
“누가 결과에 대한 지적 소유권을 갖는가”라는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처음 알고리즘은 사람이 만들었더라도,
그 결과물이 예측 불가능하거나 사람이 통제하지 못하게 되면, 지적 소유권을 주장하기 어렵다고 주장합니다.
결국 알고리즘의 결과가 컴퓨터의 통제 하에 있다면, 그 소유권도 컴퓨터에 돌아가야 한다는 파격적인 결론을 제시합니다.
따라서 글의 주제는
**⑤ The challenge of assigning intellectual ownership in meta-algorithmics (메타 알고리즘 환경에서 지적 소유권을 부여하는 데 따르는 문제)**가 가장 적절합니다.
📝 선택지 해석
① The future of AI-generated ideas in software development
→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AI 생성 아이디어의 미래
(❌ ‘미래 전망’이 아니라 지적 소유 문제가 중심임)
② How human control ensure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programming
→ 인간의 통제가 프로그래밍 지식재산권을 보장하는 방식
(❌ 반대로 통제가 없을 때 소유권이 불분명해지는 문제를 다룸)
③ The limitations of human authorship in algorithm design
→ 알고리즘 설계에서 인간 저작권의 한계
(❌ 부분적으로 맞지만, 전체 맥락보다 좁은 개념)
④ Why programmers must carefully monitor algorithmic processes
→ 프로그래머가 알고리즘 과정을 주의 깊게 감시해야 하는 이유
(❌ 경고나 조언 중심이 아님, 철학적 소유권 논의가 중심)
⑤ The challenge of assigning intellectual ownership in meta-algorithmics
→ 메타 알고리즘 환경에서 지적 소유권을 부여하는 데 따르는 문제 ✅ (정답)
지금까지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목동 미키박영어의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40번)와 정답자료였습니다.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41~42번)와 정답자료도 확인해보실까요?
이 외에도
구글, 다음, 네이버, 유튜브에서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라고 검색하시면
정말 많은 모의고사 변형문제 자료들을 무료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영문법에 대한 유용한 자료는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을 확인해보세요.
감사합니다.
'2025년 3월 고3모의고사 변형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20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0) | 2025.04.27 |
---|---|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순서추론 및 문장삽입 유형)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1) | 2025.04.24 |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39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0) | 2025.04.22 |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38번)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0) | 2025.04.22 |
2025년3월고3모의고사변형문제(순서추론 및 문장삽입 유형) [모의고사변형문제월드 미키박영어] (1) | 2025.04.21 |